[국감현장] 안행위, 인천시 국감
더불어민주당 이재정 의원은 27일 인천시청 2층 대강당에서 진행된 국감에서 한 극우단체에 대한 시의 지원을 문제 삼으며 ‘유정복식 어버이연합 게이트’라고 몰아붙였다. 이 의원이 이날 지적한 A단체는 그동안 극우성향의 단체로 평가됐다. 시는 유정복 시장 취임 이후인 2015년부터 올해까지 A단체에 4천900만원을 지원했다.
이 의원은 “시가 2015년부터 인천 자유공원에서 국가안보결의대회를 주관했던 한 단체를 지원했다”며 “이 단체의 집회에서는 ‘종북척결’, ‘빨갱이 조봉암 동상 건립 반대’, ‘송영길(전 시장) 추방 대회’ 등의 발언이 나오는 등 유 시장 입장에서 정치적으로 쓸모가 있기 때문에 지속해서 지원한 게 아니냐”고 지적했다.
이 같은 지적에 유 시장은 “유정복식 어버이연합 게이트라고 하는 것은 지나치다”며 “앞으로 부적절한 발언을 하는 행사가 있다면 시정조치 해 나가겠다”고 답변했다.
더불어민주당 김영호 의원은 유 시장의 실패한 외자유치사업으로 평가받는 검단스마트시티 문제를 물고 늘어졌다. 검단스마트시티는 인천도시공사와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각각 50%씩 지분을 가진 인천 서구 검단택지개발사업지구 검단신도시 1천118만㎡ 중 470만㎡에 두바이 스마트시티사(SCD)가 첨단도시를 개발하는 프로젝트다.
유 시장은 2015년 3월 직접 두바이를 방문해 사업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4조원에 달하는 오일머니를 유치했다’며 대대적으로 홍보한 바 있다. 당시 박근혜 전 대통령과 안종범 전 청와대 정책조정수석비서관도 중동 순방 중이었다.
시는 지난해 1월 관련 합의각서를 체결하고 사업을 추진했지만, SCD와의 협상 결렬로 같은 해 11월 최종 무산됐다. 이 과정에서 시는 SCD의 요청으로 택지개발사업을 중단하는 바람에 116억원의 금융비용을 가져왔다는 사실이 감사원 감사로 밝혀지기도 했다.
김 의원은 “검단스마트시티사업이 실패한 건 당시 박 전 대통령과 청와대만 믿고 사업을 추진했기 때문이 아니냐”며 “정직한 행정을 해달라”고 유 시장을 몰아세웠다.
유 시장은 김 의원의 지적에 대해 “검단스마트시티 사업은 인천시가 주도한 사업으로 청와대와는 아무 관계가 없다”며 “지금은 검단신도시 사업으로 상업명을 바꾸고 추진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더불어민주당 표창원 의원도 지역 현안을 언급하며 공세에 가세했다. 표 의원은 최근 추진하는 경인고속도로 일반도로화 사업을 두고 “전국 시·도 중 유일한 재정위기단체로 지정된 인천시가 2천억원이 들어가는 이 사업을 무리하게 추진하는 게 아니냐”며 “재정이 어려운데 정부의 예산 지원을 받을 노력도 하지 않고 시 예산으로 추진하는 건 내년 지방선거를 인식한 거 아니냐”고 따져 물었다.
반면, 유 시장은 “이 사업은 인천시 입장에서는 대단히 중요한 사업으로 국비 지원을 받고자 국회의 지원 법안 발의도 추진하고 있다”며 정면으로 반박했다.
또 표 의원은 소래포구 재래어시장 화재사고와 관련한 후속조치 마련을 촉구했다. 소래포구 재래어시장은 지난 3월18일 일어난 대형화재로 좌판 244개, 점포 15개, 기타시설 9개가 불에 타는 피해를 봤다.
표 의원은 “시가 전통시장 현대화사업에 소래포구를 포함하고, 전기안전 및 화재방지 시설을 갖출 수 있도록 관리했다면 화재가 발생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지적했고, 유 시장은 “소래포구를 국가어항으로 지정하는 등 현대화를 위한 계획을 수립·시행하고 있다”고 답했다.
더불어민주당 박남춘 의원은 별도의 자료를 통해 부채 감축으로 재정정상단체 진입을 자축하는 시의 치적 행보에 우려를 제기했다.
박 의원은 “지방세입 증가에 따른 재원 확충이 부채감축으로 이어진 것을 마치 대단한 치적인 것 마냥 호도해서는 안 된다”며 “아직도 10조4천억원에 달하는 부채가 남아 있는 상황인데 일시적 호조에 취해 샴페인을 터뜨려서는 안 되며 이제부터가 시작이라는 자세로 더욱 긴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