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서부권 ‘노인보호전문기관’ 내년 9월 문연다

서구 심곡동 옛 연희동 우체국 건물 리모델링… 상담원 배치
학대 발굴·24시간 신고전화 운영… 지역노인 15만여명 지킴이

인천 서부권역 15만 노인을 위한 노인보호전문기관이 내년 9월께 개설될 전망이다.

 

30일 시에 따르면 이달중 7억4천만원의 예산을 세워 인천서부권역 노인보호전문기관을 설치키로 했다. 시는 당초 4억8천500만원의 예산을 들여 위탁업체를 선정하는 방식으로 추진한 바 있다. 하지만 시는 위탁업체 선정이 어려워지자 현재 남동구에 위치한 노인보호전문기관을 확대해 위탁운영하는 방향으로 수정했다.

 

이에 따라 시는 서구 심곡동에 위치한 옛 연희동 우체국을 수리해 노인보호전문기관으로 만들기로 하고 내년 9월 개관을 목표로 리모델링 예산 2억여원을 배정했다. 또 기관장을 포함해 총 7명의 상담원을 배치한다는 계획도 세웠다.

 

인천의 노인인구는 해마다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 2006년 18만9천950명에 불과했던 노인은 지난해 32만4천255명으로 70% 가량 늘었다. 전체 시민 중 차지하는 노인인구의 비율도 2006년 7.2%에서 지난해 11%로 올랐다.

 

노인학대 사례도 지속적으로 발생해 10년 전 두 자리에 불과했던 학대 사례가 지난해 356건으로 크게 늘었다. 학대 관련 상담만 5천151건에 달할 정도로 노인들이 학대 사각지대에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인천에 해당 업무를 담당하는 노인보호전문기관의 경우 지난 2004년 남동구 간석동에 개설된 ‘노인보호전문기관’ 한 곳에 그쳤다. 이곳의 기관장 1명과 상담원 8명이 32만명에 달하는 인천지역 노인 관련 사업을 담당했다. 지난해에는 상담원 1명당 723건에 달하는 학대 상담을 할 정도로 업무가 가중되고 있는 현실이다.

 

새롭게 조성되는 노인보호전문기관은 서부권역에서 발생하는 노인학대를 발굴하고 24시간 신고전화를 운영해 사례를 관리하게 된다. 노인 15만여명이 서·계양·부평구 등 서부권역에 거주하는 것으로 집계됨에 따라 기존 노인보호전문기관의 업무 가중을 해소함과 동시에 노인관련 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수 있을 것으로 시는 기대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상대적으로 소외받을 수 밖에 없었던 서구와 부평구, 계양구 등 서부권역 노인을 관리할 수 있게 될 것”이라며 “강화와 옹진 등의 도서지역 노인학대 사례까지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주영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