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수천마리 각종 피해 동수원 사거리 최다 출몰
市, 불편 최소화 방안모색
30일 수원시에 따르면 시는 빅데이터를 활용해 지난해 도심에 출몰했던 떼까마귀의 생태와 생태전문가 자문을 통해 올해 떼까마귀가 다시 나타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분석했다. 시는 또 지난해 탐색조 까마귀가 나타난 뒤 수천 마리의 떼까마귀가 찾아온 점을 바탕으로, 지난달 16일 탐색조 역할을 맡은 까마귀를 관측했다.
이에 시는 떼까마귀로 인한 주민 피해를 줄이기 위해 출몰 예상지역에 ‘떼까마귀 주의’ 현수막을 설치하는 등 대책 마련에 나섰다. 시는 떼까마귀 출몰 예상지역은 지난해와 비슷할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시가 지난해 떼까마귀와 관련해 SNS(사회관계망 서비스), 민원접수내용, 수원지역 기상 및 토지 정보 등을 분석한 결과, ‘동수원사거리’가 최다 35회로 떼까마귀가 가장 많이 출몰했다. 이어 ‘인계사거리’(15회), ‘나혜석거리·인계동박스’(각 8회), ‘가구거리·인계 주공사거리’(각 7회) 등으로 나타났다. ‘권선사거리’, ‘신매탄사거리’ 등 권선·팔달구 13개 지역에도 떼까마귀가 1∼2차례 출몰한 것으로 집계됐다.
앞서 수천 마리의 떼까마귀가 지난해 12월 팔달구 인계동과 권선구 권선1동 일대에 날아와 머물면서 주민들이 큰 고통을 겪었다.
특히 떼까마귀 배설물로 인해 길가에 주차한 차량들이 오염되는가 하면 까마귀 울음소리에 주민들이 피해를 호소했다. 또 떼까마귀로 인해 지상 10층 규모의 백화점을 포함해 인계동 상가거리 일대가 15분간 정전이 되기도 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겨울이 다가오면서 떼까마귀가 추운 북쪽에서 남하하는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며 “도심에는 바람을 막는 고층 건물이 많고, 전선처럼 쉴 수 있는 시설물이 있어 떼까마귀가 수원시내를 마치 숲으로 착각해 찾아오는 것으로 생태 전문가들이 추정하고 있다”고 말했다.
유병돈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