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존중·협치의지 반영” vs “비현실적 대책뿐… 허탈”

文 대통령 국회 시정연설에 여야 극명한 온도차

문재인 대통령이 1일 내년도 정부예산안과 국정운영 방향을 담은 시정연설을 한 것과 관련, 여야 반응은 극명하게 엇갈렸다.

 

더불어민주당 백혜련 대변인(수원을)은 오전 논평에서 “국회를 존중하고 협치를 위한 대통령의 노력과 의지가 반영된 것”이라면서 “내년도 예산안 및 당면한 과제 해결을 위해 국민과 야당을 상대로 매우 정중하고 설득력 있게 호소했다”며 높게 평가했다.

 

백 대변인은 “그러나 대통령의 구상이 아무리 좋아도, 제도가 뒷받침되지 않는다면 공염불이 될 것”이라며 “이제 국회가 책임 있는 자세로 ‘일하는 국회’의 모습을 보여줄 때”라고 주장했다.

반면 한국당 강효상 대변인은 오후 논평을 통해 “빈곤한 철학, 비현실적인 대책만 가득한 허탈한 시정연설이었다”면서 “안보, 경제에 대한 처방이 근본적으로 잘못됐다. 국정 방향을 전면적으로 바꿔야 한다”며 평가절하 했다. 강 대변인은 “현재도, 미래도 없이 과거의 흔적 쫓기만 가득할 뿐”이라며 “‘사람중심 경제, 비핵화를 조건으로 한 대한민국 안보 원칙, 불공정과 특권이 사라진 사회를 위한 권력구조 개혁 등’에는 그 어떤 비전도 보이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국민의당 손금주 수석대변인은 오후 논평에서 “국회와의 소통을 위한 노력을 긍정적으로 평가한다”면서도 “다만 문재인 정부의 정책이 모두 정답이고, 촛불혁명을 이끈 국민의 뜻이라는 인식은 우려스럽다”고 평가했다. 손 수석대변인은 “또한 한미FTA, 흥진호 나포, 한중·한일 외교, 방송장악, 에너지 정책과 문재인 정부의 인사실패 등에 대한 대통령의 책임 있는 언급이 없어 아쉽다”고 덧붙였다.

바른정당 박정하 수석대변인도 오전 논평을 내고 “‘안보’·‘성장’·‘통합’에 대한 고민이 보이지 않는 3무 시정연설이었다”고 비판했다. 박 수석대변인은 국가안보에 대한 의지가 여전히 보이지 않고, 사람 중심이란 공허한 레토릭만 있고, 국민통합에 대한 고민이 보이지 않는다고 지적하며, “집권한 지 반년이 지났는데 여전히 대통령 후보의 연설을 듣는 것 같았다”고 꼬집었다.

김재민·구윤모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