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의원은 최근 박춘섭 조달청장에게 경제성장의 동력을 이끌고 있는 도내 중소기업의 집중 육성을 위해 경기지방조달청 설치가 시급하다는 내용의 서면 질의서를 전했다고 2일 밝혔다.
박 의원에 따르면 올해 9월 현재 도내 조달청 등록기관과 계약실적은 각각 8천48개, 15만 5천567건으로 전국에서 가장 많다. 또 조달기업 수는 6만 3천574개로 전국에서 두 번째로 많은 규모를 갖고 있다.
더욱이 조달청의 중소기업 지원 사업인 ▲우수조달 공동상표물품 사업 ▲G-PASS 사업 ▲우수조달물품 계약규격 사전검토 프로그램 사업에 선정된 기업 중 3분의 1이 경기지역 업체다.
5개 이상 중소기업자가 공동으로 함께 개발·보유한 상표에 대해 심사를 거쳐 판로를 확보해주는 ‘우수조달 공동상표물품 사업’은 전체 319개 기업 중 100개(31.3%)가 도내 업체였다. 우수 조달물품을 관리해 사전에 수요자가 믿고 계약을 진행하게 하는 ‘우수조달물품 계약규격 사전검토 프로그램’의 경우 전체 1천416개 기업 중 도내 업체가 35.2%(499개)에 달했다.
국내 조달시장에서 기술력과 신뢰도가 검증된 해외조달시장 진출 유망기업을 선정해 지원하는 G-PASS 사업 역시 도내 업체가 37.6%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도내에는 정작 해당 업무를 담당할 지방조달청 없어 도내 기업들이 서울지방조달청, 인천지방조달청을 찾아다니며 원정 업무를 봐야 하는 불편을 겪고 있다. 이로 인해 국가 산업경쟁력 발전까지 저해될 수 있다는 지적이 수년째 되풀이되고 있다.
이에 중소기업중앙회 경기지역본부는 지난 2015년 도내 중소기업 협동조합 등과 함께 ‘경기지방조달청 설립지지 연대서명’ 운동을 벌였다. 여야 경기지역 의원들도 이 같은 목소리에 보조를 맞춰 지난해 국감에서 경기지방조달청 설립을 촉구한 바 있지만 아직 벽을 넘지 못하고 있다.
박 의원은 이날 본보와의 통화에서 “경기도가 지방조달청 설치를 간절히 원하고 있는데 정부 당국이 탁상공론만 하다가 경쟁력을 잃는다면 국가적 손실이 될 것”이라며 “경기지방조달청 설치가 이뤄질 때까지 김부겸 행안부 장관을 계속 설득하겠다”고 힘줘 말했다.
송우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