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3년까지 한국인 직업의 57%가 컴퓨터로 대체될 수도

전경련, 4차산업 혁명 한일 공동 세미나…“규제완화 법안 많이 나와야”

▲ 전경련이 개최한 '4차 산업혁명 준비, 어떻게 해야하나?' 한일공동 세미나에서 2033년까지 한국인 직업의 57%가 컴퓨터로 대체될 수 있으므로 로봇과 같은 존재와 협력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사진/전경련
▲ 전경련이 개최한 '4차 산업혁명 준비, 어떻게 해야하나?' 한일공동 세미나에서 2033년까지 한국인 직업의 57%가 컴퓨터로 대체될 수 있으므로 로봇과 같은 존재와 협력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사진/전경련

[서울=경기일보/백상일 기자] 2033년까지 한국인 직업의 57%가 컴퓨터로 대체될 수 있으므로 앞으로는 로봇과 같은 존재와 협력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전경련은 3일 전경련 컨퍼런스센터에서 ‘4차 산업혁명 준비, 어떻게 해야 하나?’를 주제로 韓日공동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4차 산업혁명과 일자리’를 주제로 발표한 홍성민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인재정책연구단장은 2033년까지 한국인 직업의 57%가 컴퓨터로 대체될 수도 있다는 연구결과를 인용하며 “미래 일자리의 핵심역량은 문제발굴·해결능력과 함께 로봇과 같은 인간 이외의 존재와도 협력할 수 있는 능력”이라고 강조했다.

구체적 정책방향으로는 ‘단순 훈련이 아닌 역량개발 체계로의 직업훈련 시스템 개발’을 제시했다. 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R&D 성과가 경제성장과 일자리 효과를 제고할 수 있도록 정책을 추진해야한다는 것이다.

이에 앞서 권태신 전경련 상근부회장은 개회사를 통해 “4차 산업혁명으로 우리는 일찍이 경험해보지 못한 기술진보, 산업구조 변화 등을 경험하게 될 것”이라며 “창의성 있는 인재육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기존의 이론과 체제를 뛰어넘는 초현실성을 특징으로 하기에 법․제도 역시 파괴적 혁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특히“우리나라가 4차 산업혁명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려면 혁신적인 규제완화 법안이 많이 나와야 한다”고 강조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