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설계·지방재정 투심 등 줄줄이 지연 사업자칠 우려
자칫 내년 10월 착공 ‘발목’
6일 인천경제청에 따르면 송도워터프런트사업은 오는 2027년까지 송도국제도시에 바닷물이 순환하는 ‘ㅁ’자 수로를 개설해 현재 송도지역 총면적(53.45㎢)의 약 11%에 해당하는 6.04㎢ 면적의 수변공간을 3단계에 걸쳐 조성하는 사업이다. 그런데 당초 지난달 마무리될 예정이던 송도워터프런트 사업 타당성 조사 용역이 내년 초로 연기돼 논란이 일고 있다.
현재 관련 용역을 수행 중인 한국지방행정연구원은 이 사업이 유수지 조성, 수질개선, 공원조성 등 3개 분야에 걸친 방대한 규모여서 조사에 시일이 걸린다는 입장이다. 문제는 타당성 용역 결과 발표가 늦어질 경우, 앞으로 남아있는 기본 및 실시설계, 지방재정 투자심사 등의 절차가 줄줄이 늦어져 내년 10월로 예정된 1단계 공사 착공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이다.
사정이 이렇자 송도지역 주민들은 워터프런트 사업 정상 추진을 위한 인천시의회 청원절차에 착수하는 등 집단 행동을 예고하고 있다. 국제도시송도입주자연합회 측은 “타당성 조사가 지연될 경우 전체 워터프런트 사업의 지연·축소·무산의 위기에 처할 수 있다”며 “입주민들의 뜻을 모아 인천시의회 등에 정상적으로 사업을 추진해달라고 청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인천경제청은 워터프런트사업이 규모가 크고 복합적인 사업이다보니 타당성 조사는 물론, 이후 관련 위원회 심의에도 평가받을 항목이 많아 예상보다 시일이 더 걸릴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렇지만 내년 하반기 착공 등 사업 추진 자체에는 큰 문제는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경제청의 한 관계자는 “타당성 조사와 기본설계용역이 같이 진행 중으로 단계별 사업 추진에는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양광범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