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감사 무풍지대’ 교피아 논란
시교육청, 내달초 이례적 ‘특정 감사’
인천시교육청 고위직 공무원이 명예퇴직 다음날 ‘공제회 사무국장’으로 옮겨 ’교피아’ 논란이 일고 있단 본보 보도(2017년 9월7일자 7면)와 관련, 시교육청이 학교안전공제회(이하 공제회)에 대한 감사를 벌인다.
공제회 내부 비리가 적발되지 않은 상황에서 교육청이 감사에 나서는 것은 이례적인 일이며, 인천지역 공제회의 경우 설립 이후 처음으로 감사를 받게 된다.
7일 인천시교육청에 따르면 국정감사 일정이 마무리된 만큼, 공제회에 대한 특정감사를 이르면 다음달 초 진행할 예정이다.
감사는 인력 채용 부분부터 예산 운용에 대한 부분까지 공제회 업무 전반에 대해 진행될 방침이다.
학교안전공제회는 2007년 9월부터 ‘학교안전사고 예방 및 보상에 관한 법률’에 따라 교육청 산하 특수법인으로 운영됐지만, 단 한차례도 감사를 받지 않았다.
지난 2012년에는 학교안전공제회가 보상금에 비해 공제료 수입이 적다고 주장하며 학교의 소방시설을 관리하고 소화기를 판매하는 소방시설관리센터를 운영하면서 방만한 예산 운영에 대한 지적이 제기됐었다.
하지만 5년이 지난 최근까지도 시교육청은 별다른 감사 시스템을 마련하지 않았다.
지난 9월 본보에서 교육청 3급공무원으로 명예퇴직 후 하루만에 공제회 사무국장으로 채용된 사실과, 특수법인 전환 후 한차례도 감사를 받지 않은 점을 지적해 참교육을 위한 전국 학부모회 인천지부 등 학부모 단체들의 감사 요구가 빗발쳤다.
이후 시교육청은 뒤늦게 감사에 착수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또 국정감사에서도 같은 지적이 제기되면서 당시 박융수 교육감 권한대행은 일정을 조율해 감사를 추진하겠다고 선언한 바 있다.
김경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