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 2019년 정책 연구 본격화
인천형 기후·환경 정책 연구가 2019년부터 본격화 될 전망이다.
8일 시에 따르면 ‘2018년도 인천기후환경연구센터’에 대한 출연 동의안을 제245회 인천시의회 제2차 정례회에 상정했다. 출연 동의안이 통과되면 내년도 기후센터에서 직접인건비와 사무운영 등에 사용할 인천발전연구원 출연금 2억9천900만원을 확보하게 된다.
시는 재정상황을 감안해 최소한의 자금(2억6천900만원)과 인력(5명)으로 지난 5월 송도 G타워 23층에 센터를 개설했다. 오는 2021년까지 연차별 자금 투자계획을 세운 시에게 있어 이번 출연금 동의안은 반드시 통과되야 할 과제중 하나다.
이번 출연금이 정상적으로 조성되면 오는 2019년 5억8천100만원의 예산을 투입해 재단법인을 출범할 수 있게 된다. 재단이 출범하면 기후센터는 연11억6천300만원에 달하는 예산을 운용할 수 있다.
한국은 세계 12위의 온실가스 배출국으로서 온실가스 감축목표(INDC) 37%(2030년도 배출전망치 대비)를 확정하고 파리협정 비준을 완료하는 등 정부와 지자체 차원의 기후변화대응 정책이 시급한 과제로 떠올랐다.
특히 인천은 국제공항과 항만, 산업단지, 광역발전시설, 쓰레기매립지 등 기후 ·환경 현안이 집중돼 있어 지속적인 온실가스 감축 및 환경개선 정책이 요구되고 있다. 인천에 소재한 녹색기후기금(GCF), 글로벌녹색성장기구(GGGI), 유엔지속가능발전센터(UNOSD), 극지연구소 등 국제기구 및 글로벌 연구기관들과 업무 협력을 통한 전략적 기후변화 대응이 필요한 상황이다.
기후센터 재단법인이 출범하면 지역특성을 고려한 기후·환경 정책연구는 물론, 그린비즈니스산업 육성, 국제기구와 협업, 지역 환경문제 해결방안 강구 등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 활동영역이 넓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시 관계자는 “이번 출연 동의안은 올해 최소 자금과 인력으로 출범한 인천기후센터를 재단법인 출범전까지 안정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자금”이라며 “재단이 출범하면 글로벌 이슈인 온실가스 감축 등 기후변화로 인한 미래 환경 위기에 전략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된다”고 말했다.
주영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