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질적인 한중 관계 복원… 북핵 해법 ‘모멘텀’ 구축 기대
4강 외교 벗어나 아세안과 협력 강화·경제영토 확장 추진
사드배치 문제로 갈등을 빚었던 중국과는 시 주석과 리커창 총리와의 연쇄회담을 통해 관계복원 속도를 높인다는 계획이다. 이 자리는 문 대통령이 추구하는 ‘균형외교’의 시험대가 될 전망이다.
■한중 정상회담, 북핵 포기…중국 역할 요청
무엇보다 문 대통령은 이번 순방기간중 관계개선을 선언한 중국 시진핑 국가주석과 한중 정상회담을 통해 실질적인 한중관계 복원과 북핵문제 해법의 모멘텀을 만들어갈 계획이다.
문 대통령은 순방 직전 국빈 방한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으로부터 한반도문제의 평화적 해결 원칙에 대한 지지를 이끌어낸 바 있다. 이를 토대로 시 주석에게도 북한의 핵 포기를 위한 중국의 적극적인 역할을 요청할 것으로 예상된다. 압박과 대화의 문을 동시에 열어 둔 우리의 자주적 노력에 대한 성원도 당부할 것이란 관측이다.
또 지난 합의문 발표를 계기로 양국 간 교역과 경제협력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나가자고 제안할 것으로 예상된다. 시 주석의 호응도에 따라 문 대통령의 균형외교에 대한 평가도 갈릴 것이란 분석이다.
이번 정상회담 결과에 따라 지난 10월 중국 공산당 전국대표대회가 마무리된 이후 다소 해빙무드에 들어서고 있는 한중관계를 본궤도에 올릴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문 대통령은 다른 APEC 정상들에도 북핵을 포함한 한반도 문제의 평화적 해결 원칙을 설명하고, 역내 컨센서스와 협력을 이끌어내는 계기로 삼을 계획이다.
11일 APEC 리트리트 세션1에서 다뤄질 ‘디지털 시대의 혁신 성장, 포용성 및 지속 가능한 고용’ 주제 토의에선 ‘사람 중심 지속성장’ 전략을 소개하며 APEC 차원에서의 포용성과 혁신 증진을 위한 구체적인 정책 방향을 제시할 예정이다. 이 과정에서 동남아 국가들과 실질적 협력강화를 위한 다양한 노력을 전개할 것으로 전망된다.
■균형외교 핵심, ‘신남방정책’
이번 순방의 또 다른 관전 포인트는 지역 공동체 기구인 아세안(ASEAN)을 향한 문 대통령의 신남방정책이다. 신남방정책은 제2교역대상국이자 투자대상국인 아세안 지역과의 협력을 강화해 한반도 경제영토를 확장해 나간다는 구상이다.
기존 주변 ‘4강(미·일·중·러)’ 중심 외교에서 탈피해, 경제·군사적 중요성이 커지는 아세안 국가들과의 관계를 격상시킨다는 것이 골자다. 이 지역에 걸린 미·중의 거대한 이해관계를 감안하면 균형외교 추진에도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문 대통령은 첫 방문국인 인도네시아에서 9일 열리는 한·인도네시아 비즈니스 포럼에서 신 남방정책을 전격 공개한다.
강해인 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