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부, 실적낮은 539곳 명단 발표 SK·미래에셋 계열사 등 다수 포함
부실공사 논란 부영주택은 단 ‘1명’ 8개 시·도교육청 의무고용률 위반
화성 동탄2신도시 부실공사로 논란을 빚은 부영주택과 미래에셋, SK 등 대기업 계열사들이 장애인 고용에 인색한 것으로 드러났다. 또 국회와 경기도교육청을 비롯한 전국 8개 시ㆍ도교육청도 장애인 의무고용률을 위반해 고용부가 공표한 명단에 이름을 올리는 수모를 당했다.
고용노동부는 9일 지난해 말 기준으로 장애인 고용 실적이 현저하게 낮은 국가ㆍ자치단체 9곳, 공공기관 23곳, 민간기업 507곳 등 총 539곳의 명단을 발표했다.
대상은 장애인 공무원 고용률이 1.8% 미만이거나 장애인 근로자(비공무원) 고용률이 1.35% 미만인 국가 및 자치단체, 장애인 고용률이 1.8% 미만인 공공기관(100명 이상)과 1.35% 미만인 민간기업(300명 이상)이다.
고용부는 지난해 12월 조사에서 장애인 고용 실적이 저조한 것으로 드러난 1천56곳 중 신규 채용, 자회사형 장애인 표준사업장 설립 등 개선 노력을 한 517곳을 제외하고 명단을 발표했다.
민간기업 중에서는 부영주택과 미래에셋컨설팅, SK그룹의 나래에너지서비스, 대림그룹의 고려개발 등 자산총액 10조 원 이상 대기업 16곳에 속한 25개 계열사가 포함됐다. 상시근로자가 1천217명인 부영주택은 의무적으로 32명의 장애인을 고용해야 하지만 실제 장애인 근로자수는 단 1명으로 장애인 고용률이 0.08%로 최하위를 기록했다. 부영주택은 3회 연속 이름을 올렸다.
국가ㆍ자치단체에서는 입법기관인 국회와 장애인 인식개선교육ㆍ장애인교원 양성 등에 중추적 역할을 해야 할 경기도교육청을 비롯한 8개 시ㆍ도교육청이 포함됐다. 공기업에서는 한국석유공사가 유일했으며, 공공기관에서는 중소기업연구원ㆍ한국문화관광연구원 등 주로 연구 기능을 수행하는 기관들이 다수 포함됐다.
공표 명단에 연속 이름을 올린 공공기관과 기업들도 여전히 많았다. 2회 연속 명단에 포함된 곳은 357곳(기관 23·기업 334)이었고, 3회 연속도 283곳(기관 13·기업 270)에 달했다. 국회를 비롯해 경기도교육청 등 6개 교육청 등은 3회 연속 포함됐다.
김경선 고용부 고령사회인력정책관은 “장애인 고용을 늘리고 명단 발표 대상이 줄어들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권혁준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