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11년 조성된 ‘4대강 희망의 숲’이 무관심 속에 방치돼 일부 느티나무들은 벌써 썩고 있는 가운데(본보 7일자 1면) 양평군이 썩은 나무를 잘라내는 등 긴급 조치에 나섰다.
12일 양평군에 따르면 군은 지난 9일 조경업체와 합동으로 강상체육공원 내 조성된 ‘4대강 희망의 숲’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고 이곳에 심어진 느티나무 90그루 가운데 썩은 것으로 판명된 13그루를 베어냈다. 또 군은 관련 예산을 긴급 투입, 느티나무를 베어낸 자리에 소나무를 이식하기로 결정했다.
이처럼 양평군이 긴급 조치에 나선 가운데 환경단체들은 단순히 나무를 베어내는 것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장기적인 계획을 세워 숲을 관리해 나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재석 노을공원시민모임 대표는 “정부가 국민을 독려해 나무를 심게 해 놓고 관리를 하지 않아 6년 만에 베어내는 촌극을 빚었다. 전형적인 전시행정의 표본”이라며 “가장 좋은 방법은 자연의 상태로 다시 되돌려 놓는 일이지만 현실적으로 원상복구는 어려운 상황이니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기 위해서라도 지금부터 체계적인 계획을 수립해 관리해 나가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양평군 관계자는 “4대강 희망의 숲이 썩고 있다는 언론 보도에 따라 조경업체와 현장확인을 실시했고 실제 썩은 느티나무를 발견해 베어내는 조치를 했다”며 “앞으로 희망의 숲 관련 예산을 편성하는 등 체계적인 계획을 마련해 유지ㆍ관리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4대강 희망의 숲’은 지난 2011년 정부가 4대강 사업을 추진하면서 국민의 관심과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추진한 사업으로 가족 및 단체 등 일반 국민이 자발적으로 수목을 구입한 후 직접 식재해 숲을 조성한 사업이다. 경기도 내에서는 4대강 사업 중 한강 구역인 여주시와 양평군, 광주시 등에서 희망의 숲 조성 사업이 추진됐다. 강상체육공원에 조성된 양평군 희망의 숲에는 300명의 시민이 참여했으며 이포보 인근에 조성된 여주시 희망의 숲에는 290명의 시민이, 물안개 공원 내에 조성된 광주시 희망의 숲에는 118개 단체가 참여해 희망의 숲을 조성했다.
이호준ㆍ김승수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