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경필 경기지사가 도의회에서 제동이 걸린 ‘광역버스 준공영제’에 대한 추진 의지를 재차 피력했다.
남 지사는 지난 10일 열린 도의회 제324회 정례회 3차 본회의 일괄답변에서 “며칠 전 김포시에서 버스 교통사고가 발생했는데 사고 원인은 버스운전자의 졸음으로 조사됐다. 버스운전자는 전날 17시간 근무한 뒤 바로 다음 달 새벽부터 근무하다 사고를 내 1명이 사망하고 1명이 중상을 입었다”면서 “언제나 우리 가족의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그러나 일어나지 말아야 할 참사를 준공영제를 통해 줄이는 것이 도지사의 책무라고 느낀다”고 밝혔다.
남 지사는 또 내년 본예산에 편성된 준공영제 예산 540억 원을 유보해야 한다는 천영미 의원(더불어민주당ㆍ안산2)의 도정질문에 대해 “22개 시ㆍ군이 광역버스 준공영제에 참여할 경우 연간 540억 원의 예산이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성남, 고양시까지 참여하면 887억 원의 예산이 필요할 것으로 추계된다”며 “버스준공영제는 정치적 사안이 아니다. 성남, 고양시도 주민을 위한다면 응당 함께 하는 것이 맞다”고 강조했다.
남 지사는 이어 수도권교통관리청으로의 업무 이관 가능성에 대해서는 “수도권 주민들의 생활권역과 행정권역이 일치하지 않아 발생하는 광역교통 문제는 광역교통청이 해결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한다”면서 “국토부가 광역교통청 운영 청사진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않고 있지만 수도권내 광역시ㆍ도간을 운행하는 광역버스는 광역교통청이 담당하는 것으로 국토부와 협의해 나가겠다. 광역교통청이 광역버스 운영을 담당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재원분담 등 구체적인 이관내용 및 절차에 대해서도 논의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이날 천영미 의원은 도정질문을 통해 “버스준공영제 시행은 시범사업의 형태로 한 번 해보고 그만둘 수 있는 사업이 아니다”라며 “그런 의미에서 내년 본예산에 편성된 540억 원은 잠시 유보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천 의원은 또 “내년 지방선거를 얼마 남겨두지 않은 시점에서 갑자기 내년부터 광역버스 준공영제를 시행하겠다고 하는 이유를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며 “통합환승할인제도도 시작에선 600억 원 수준이었다가 지금은 2천100억에서 2천500억 원 수준으로 상승한 만큼 준공영제 예산 추계를 더 정밀하게 검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박준상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