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외계층을 대상으로 하는 수원시 ‘공공·민간복지기관의 복지서비스’에 대한 만족도가 지난해보다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수원시에 따르면 시가 지난 8~10월 261가구를 대상으로 한 ‘수원시 민관협력 사례관리 만족도 조사’ 결과, 만족도를 측정한 8개 항목 모두 전년보다 높은 점수를 받았다.
‘사례관리 내용과 서비스 만족도’는 4.46으로 전년(4.14)보다 0.32점, ‘담당자 전문성 만족도’는 4.56으로 전년(4.21)보다 0.35점, ‘적절한 시기에 복지서비스 안내’는 4.43점으로 전년(4.16)보다 0.27점 올랐다.
문항별 만족도(괄호 안은 전년도 수치)를 보면 ‘담당자가 사례관리 과정을 자세히 설명했는가?’ 4.46점(4.36), ‘담당자가 본인을 존중하면서 사례관리를 했는가?’ 4.66점(4.31), ‘담당자가 본인의 욕구를 충분히 반영해 서비스를 제공했는가?’ 4.42점(4.03), ‘서비스를 받고 전반적으로 욕구가 해결됐는가?’ 4.33점(3.92), ‘요청한 부분을 담당자가 최대한 신속히 처리하려고 노력했는가?’ 4.52점(4.26점)이었다.
한편 이번 조사는 지난해 11월부터 수원시 공공·민간 복지기관이 돌보고 있는 수원시 저소득층 가구원 871가구(사례 관리 종결 가구 포함) 중 설문에 응한 261가구를 대상으로 이뤄졌다. 응답자는 남성 46.7%, 여성 56.3%였고, 연령대는 60대 23.4%, 50대 21.8%, 70대 18.4%, 40대 16.1%, 80대 이상 10%, 30대 8.8%였다. 가구 유형은 ‘한부모가구’가 24.1%로 가장 많았고, ‘독거노인 가구’ 23.7%, ‘청장년 1인 가구’ 19.3%, ‘부모(성인) 자녀 동반 가구’ 8%, ‘부부 중심 가구’ 5.6%, ‘장애인 가구’ 5.2%였다. 생활보장 형태는 ‘기초생활보장 수급자 가구’가 40.2%, ‘일반 가구’ 28.5%, ‘차상위 가구’가 23.7%였다.
이호준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