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최저임금이 올해보다 16.4%가량 상승하면서 노동집약적인 인천 제조업계가 큰 타격을 입을 것으로 우려된다. 이에 따라 정부 차원의 업종 전환과 판로개척 등 정책적 지원이 시급하다는 견해가 제기됐다.
인천경제산업정보테크노파크 전략정책연구실은 13일 ‘최저임금 상승이 인천 제조업에 미치는 영향 및 시사점’ 연구보고서를 통해 이 같이 주장했다.
내년 최저임금이 올해 6천470원에서 7천530원으로 16.4% 상승함에 따라 제조업 중 노동집약형 업종인 섬유, 의복·액세서리·모피, 가죽·가방·신발 등 인건비가 상대적으로 낮은 노동집약형 업종의 기업 부담이 크게 늘어날 것이라는 이유에서다.
연구보고서는 이들 업종의 종업원 1인당 연봉 상승률이 최대 769만원에 달해 기업 경영 압박요인이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 여파로 신규채용을 줄이거나 고령·미숙련 근로자 조기퇴직 권고가 이어져 실업률 증가로 이어질 것이라는 주장이다.
이에 따라 인천지역 차원에서 경영안정자금 지원 및 기업 모니터링을 강화해야 한다는 분석이다. 장기적으로는 정부 차원에서 노동집약형 사업을 고부가가치 업종으로 전환할 수 있는 연구·개발(R&D) 지원, 새로운 판로 개척 등의 정책적 지원방안이 마련돼야 한다는 견해다.
황은주 인천TP 전임연구원은 “인천지역산업의 체질개선과 청년 등 우수인력 유입에 따른 기업의 역동성을 높일 수 있는 기회로 삼아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연구보고서는 자동차·기계·금속 등 인천 주력 제조업은 최저임금 상승에 따른 인건비 영향폭이 크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양광범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