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마을버스 정보도 한눈에 볼수 있는 통합서비스 17일부터 시행

마을버스도 현재위치, 정류소 도착시간 등을 스마트폰 앱 ‘경기버스정보’ 등을 통해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

 

경기도는 17일부터 도내 모든 마을버스의 실시간 운행정보를 통합적으로 제공하는 ‘마을버스정보 통합 제공 서비스’를 전면 시행한다고 16일 밝혔다.

 

서비스 대상은 고양, 과천, 의정부 등 현재 마을버스를 운행 중인 21개 시·군 751개 노선이다.

그동안 마을버스는 시내ㆍ시외버스와는 달리 실시간 운행정보가 일부 시ㆍ군의 전광판을 통해서만 제한적으로 제공됐었다.

 

도는 이 같은 불편을 해소하고자 지난 2015년부터 ‘마을버스정보 통합 제공 3개년 계획’을 수립, 추진해 왔다.

 

2015년에는 성남, 광명 등 10개 시에 도입을 완료했고 2016년에는 고양, 부천 등 8개 시를 추가 확대했다. 올해에는 11월 의정부시를 마지막으로 시스템에 포함함으로써 21개 시ㆍ군의 마을버스 통합 제공 서비스 구축을 완료했다.

 

이번 서비스는 시ㆍ군 경계를 넘나드는 노선임에도 지자체 간 시스템이 호환되지 않아 타 시ㆍ군 이용객은 불편했다는 단점도 개선했다.

 

더불어 도는 21개 시ㆍ군은 물론 서울시ㆍ인천시 등과도 ‘상호 정보 연계·공유 시스템’을 구축했다. 이로써 행정구역에 따른 경계를 초월, 언제 어디서나 경기 마을버스 운행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 서비스는 경기도가 제공하는 스마트폰 앱 경기버스정보는 물론, 홈페이지(www.gbis.go.kr), ARS(1688-8031)을 통해서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내 버스정류소에 설치된 1만여 대의 안내전광판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배홍수 도 교통정보과장은 “마을버스정보 통합 시스템 구축으로 2007년 시내버스, 2012년 시외ㆍ공항버스에 이어 도내 모든 노선버스에 대한 정보시스템을 구축 완료하게 됐다”며 “앞으로도 도민이 더욱 쉽고 편리하게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정보서비스를 개발, 보급하겠다”고 밝혔다.

정일형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