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안가 곳곳 발전소·가스·정유 등 위험시설물 즐비한데 지진해일 대책 全無… 재난안전 불감증
포항에서 5.4 규모의 지진이 발생하면서 인천도 더이상 지진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특히 백령도 일대를 중심으로 최근 6년간 2.0 이상 규모의 지진이 45회 발생하는 등 크고 작은 지진이 끊이질 않고 있다.
인천은 발전소 등 국가주요시설과 대형 공장, 위험시설물이 산재해 있다. 본보는 인천이 가진 지진관련 현황을 살펴보고 대형 지진 발생에 대한 대비책 마련을 모색해 본다. 편집자 주
지난해 경주에 이어 올해 포항에서 5.4 규모의 지진이 일어나면서 한반도가 지진의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사실이 명확해졌다. 역대 두번째 규모라고 하지만 6.0 이상의 지진이 일어나지 않는다는 보장이 없다.
인천은 해안가를 중심으로 인천화력발전소 등 국가주요시설과 인천LNG가스생산기지, SK인천석유화학 등 정유시설·가스 등 위험물취급 대형 사업장이 즐비해 지진해일에 취약한 구조다.
이런 상황에서 인천은 백령·연평도 인근 해역을 중심으로 최근 6년간 2.0 이상 규모의 지진이 45회 발생했다. 올해만 봐도 지난 2월23일 백령도 해역에서 규모 3.1 지진을 시작으로 3월28일 연평도 해역(2.2), 7월18일 강화도 해역(2.7), 9월7일 연평도 서남서쪽 해역(2.9) 등 5차례의 지진이 발생했다. 포항에서 역대 두번째 규모의 지진이 발생하기 하루 전인 14일에도 백령도 남쪽 75㎞ 해역에서 규모 2.9의 지진이 일어났다.
해안가를 중심으로 위험시설이 있음에도 인천은 지진해일에 대한 시뮬레이션 등을 통해 지역 해안연안 해일 높이 등을 평가해 위험구역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는 등의 방비책을 세운 적이 없다. 더욱이 인천은 해역이 아닌 육지에서 지진이 날 경우 상황은 더욱 심각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인천 공공시설물 970곳중 내진성능이 확보된 곳은 504곳(51.9%)에 불과하다. 학교시설도 내진대상 1천380곳의 31.8%에 불과한 440곳만 내진성능을 갖추고 있다.
민간건축물 내진확보율은 21.1%로 더욱 심각하다. 단독주택은 내진대상 건축물(4만5천433곳)의 9.37%(4천257곳)만 지진에 안전한 것으로 집계됐다. 아파트 등 공동주택도 내진대상 건축물 3만2천495곳중 내진확보 건축물 1만477곳으로 내진율이 32.2%에 머물렀다.
이는 초고층 빌딩과 새롭게 지은 아파트가 즐비한 송도·청라·영종 국제도시와 대조적으로 오래된 단독주택과 아파트가 많은 원도심이 지진에 무방비 상태라는 의미로도 풀이된다.
이뿐만 아니라, 송도·청라·영종 등 매립지는 1988년 내진설계 의무화(리히터 규모 6.5 적용) 이후 매립지반 안정화 설계 시 지반 액상화가 검토 반영돼 안전하지만, 1980년대 이전 매립 지역(대표적으로 월미도 일대)의 연안지반은 액상화 검토가 적용되지 않아 지진에 취약하다.
액상화란 지하수면 아래 가는 모래나 실트 등의 세립자로 형성된 지반이 지진 등의 하중에 의해 고체상태에서 액체상태로 변해 지반이 급속하게 침하·변형을 일으키는 현상을 말한다.
김기웅 인천대 도시환경공학부 명예교수는 “지금까지 인천을 분석해 보면 큰 피해가 없었지만, 포항처럼 규모가 큰 지진이 내륙에서 발생하면 문제가 될 수 있다”며 “특히 원도심과 월미도 같은 구 매립지역은 지진에 취약할 수밖에 없는 구조”라고 말했다.
주영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