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 북부 수능시험장 4곳, 남부 대체장소로 변경

김상곤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20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수능 시험장에 대한 종합대책을 발표하고 있다. 오른쪽은 김부겸 행자부 장관.  /연합
김상곤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20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수능 시험장에 대한 종합대책을 발표하고 있다. 오른쪽은 김부겸 행자부 장관. /연합

정부가 지진 피해를 겪고 있는 포항지역 4개 대학수학능력시험 고사장을 포항 남부지역으로 옮기는 등 범정부적 대응에 나섰다. 또 강한 여진에 대비, 경북 영천 등 인근 지역에 예비시험장을 마련하기로 했다.

 

교육부는 20일 국무총리 주재 관계 장관회의를 거쳐 이 같은 내용의 수능 시행 범부처 지원 대책 및 포항 수능시험장 운영 방안을 발표했다.

 

교육부에 따르면 포항 시험지구 수능시험장은 인근 울진과 영덕지역을 제외하면 포항에 총 12곳(예비시험장 별도 1곳)이다. 앞서 정부는 교육부·행정안전부·교육청·민간전문가 등이 참여한 가운데 두 차례에 걸쳐 합동 정밀점검을 실시, 이들 12개 학교 모두 구조적 위험은 없다고 판단했다.

 

다만 학생들이 피해가 상대적으로 심했던 학교에서 시험을 볼 경우 심리적으로 불안할 수 있는 만큼 진앙에서 가까운 북측 4개교 대신 포항 남측에 대체시험장 4개교를 설치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기존 포항고·포항장성고·대동고·포항여고 고사장은 남부 포항제철중·오천고·포항포은중·포항이동중으로 변경된다. 아울러 교육부는 추가 여진에 대비, 영천·경산 등 인근에 예비시험장 12곳을 함께 준비하기로 했다.

 

포항지역 예비소집은 지난 15일 기준 예비소집 장소에서 오는 22일 오후 2시에 진행한다. 이 시점을 기준으로 여진이 발생할 경우 시험 당일 학생들의 이동 방안이 바뀐다.

 

예비소집 전에 강한 여진이 발생해 포항 밖 예비시험장에서 시험을 치러야 하는 경우 학생들은 각자 예비시험장으로 가서 시험을 보면 된다. 예비소집 이후 강한 여진이 발생해 예비시험장을 이용해야 하는 경우에는 수능 당일 아침 포항지역 시험장에서 모여 버스로 함께 이동한다.

 

포항 밖 예비시험장 활용 여부는 강한 여진이 발생할 경우 경북교육청이 결정해 학생들에게 개별 안내한다.

 

만약 수능 시험 중 여진이 발생하면 ‘수능 지진 발생 시 행동요령’을 바탕으로 대응한다. 교육부는 수능 당일 수능시험비상대책본부장(부총리)이 포항에 비상 대기하면서 비상 상황에 대응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수능 연기에 따른 수험생 피해를 줄이고자 관계부처도 지원에 나서기로 했다. 전국 수능 시험장을 대상으로 소방 안전점검을 실시하고 시험 당일 포항지역 시험장에는 소방공무원 2명과 구조대원 2명을, 다른 지역 시험장에는 소방공무원 2명을 배치한다.

 

이와 함께 수능 당일 대중교통 편성 횟수를 늘리고 영어영역 듣기평가 시간에 항공기 이착륙을 제한하는 등 그동안 연례적으로 취해온 조치도 동일하게 이뤄진다.

 

송우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