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법제사법위원회는 21일 고위공직자비리수사처(공수처) 설치를 논의했지만 합의를 이끌어내지 못했다.
법사위 법안심사제1소위는 이날 오후 비공개회의를 열고 ‘공수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안’ 등을 논의했지만 여야 간 견해차로 합의점에 도달하지 못했다.
더불어민주당 금태섭 소위원장은 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나 “한국당이 공수처 설치에 대한 각론 협의를 안 하겠다고 한다”면서 “공수처 설치 논의가 시작되면 그때 다시 협의할 것”이라고 전했다.
반면 자유한국당 김진태 간사는 “적폐청산만 좋아하는 정권에 또 다른 칼(공수처)을 쥐여 줄 수는 없다”며 “검찰이 아무리 미워도 이것은 제도의 문제이므로 별개로 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불필요하게 반복적인 협의는 실익이 없으므로 더 이상 (심사에) 응하지 않겠다”고 선을 그었다.
당초 한국당은 공수처 설치에 대해 반대 입장을 유지해왔다. 하지만 최근 국정원 특수활동비 등으로 검찰의 칼날이 다가오면서 견제할 수 있는 기관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당내 일각에서 제기되는 상황이다.
하지만 한국당의 ‘투톱’이 연일 공수처 설치에 명확한 반대의사를 밝히며 향후 여야 간 논의에 난항을 예고하고 있다.
홍준표 대표는 전날 페이스북을 통해 “공수처 문제는 국가사정기관 전체 체계에 관한 문제”라며 “정치 거래대상이 아니다”라고 잘라 말했다. 홍 대표는 이어 “충견도 모자라서 맹견까지 풀려고 하는 것은 용납하기 어렵다”며 공수처 반대 입장을 명확히 했다.
정우택 원내대표도 이날 오전 원내대책회의에서 “공수처 설치에 대해 두 가지 점에서 반대한다”며 “검찰과 특별검찰관 등 다른 수사기관 관계에서 옥상옥의 설치가 이뤄진다는 점, 우리나라의 정치행태로 봐서 또 하나의 정치보복 또는 정치적으로 악용될 수 있는 수단으로 변질 우려가 있다는 점”이라고 지적했다.
정 원내대표는 또한 “공수처 처장의 추천권을 야당이 갖는다고 하더라도 처장이 과연 주변의 분위기와 여러 가지 정치행태에 대해 제 기능을 할 수 있는지 의구심을 가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경기일보 뉴스 댓글은 이용자 여러분들의 자유로운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건전한 여론 형성과 원활한 이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사항은 삭제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경기일보 댓글 삭제 기준
1. 기사 내용이나 주제와 무관한 글
2. 특정 기관이나 상품을 광고·홍보하기 위한 글
3. 불량한, 또는 저속한 언어를 사용한 글
4. 타인에 대한 모욕, 비방, 비난 등이 포함된 글
5. 읽는 이로 하여금 수치심, 공포감, 혐오감 등을 느끼게 하는 글
6. 타인을 사칭하거나 아이디 도용, 차용 등 개인정보와 사생활을 침해한 글
위의 내용에 명시되어 있지 않더라도 불법적인 내용이거나 공익에 반하는 경우,
작성자의 동의없이 선 삭제조치 됩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