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1교시 국어영역은 만점자가 0.23%에 그칠 정도로 어려웠던 작년 수능과 비슷한 수준으로 어려웠던 것으로 평가됐다.
23일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대입상담교사단 소속 김용진 동국대부속여고 교사는 출제경향 브리핑에서 “올해 국어영역은 9월 모평보다 다소 어렵고 작년과 비슷했다”며 “화법·작문·문법·문학영역보다 독서영역이 상대적으로 어려운 경향이 올해도 유지됐다”고 말했다.
지문의 길이는 작년보다는 짧았지만 예년보다는 길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김 교사는 “독서영역 지문 길이는 작년보다는 조금 짧았지만 예년과 비교해 길어졌다”면서도 “학생들도 모평이나 전국연합학력평가 등에서 긴 지문을 접해봐 문제를 푸는 데 큰 어려움은 없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독서영역 지문으로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목적론에 관한 글, 환율과 금리를 다룬 글, 디지털통신용 부호화 기술을 다룬 글 등이 활용됐다. 30번 문제(홀수형 기준)는 통화량 증감에 따른 환율과 금리 변화를 그래프와 연결해 이해해야 하는 문제로 수험생들이 어렵다고 생각했을 것으로 분석되며 41번은 부호화 기술 개념을 정확히 이해하고 있어야 풀이할 수 있는 문제여서 쉽지 않았을 것으로 평가됐다. 김 교사는 “수험생들에게는 41번이 가장 어렵게 느껴졌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또 42번은 제시문 중 밑줄 그어진 단어의 동음이의어를 찾는 문제로 표준발음법에 익숙하지 않은 요즘 수험생들이 풀기 쉽지 않았을 것으로 김 교사는 평가했다.
문학영역에서는 EBS 교재나 교과서에 수록되지 않은 이육사의 시 ‘강 건너간 노래’가 출제돼 국어영역 성적을 가름하는 ‘복병’ 역할을 할 것으로 평가됐다. 전 수능에도 나왔던 ‘사씨남정기’와 ‘관촌수필’도 다시 출제됐다.
화법과 작문영역은 6월과 9월 모평에 이어 수능에서도 두 영역이 한 세트로 묶여서 나오는 ‘세트형’으로 출제됐다.
문법영역에서는 사전 지식이 필요하거나 새로운 유형인 문제가 나왔다.
14번은 음운 변동에 대해 어느 정도 알아야 하는 문제였고 15번은 국어사전 단어 뜻풀이 변화를 제시하고 각각 어떤 이유에서 변화가 이뤄졌는지 묻는 형태로 기존과 약간 달라진 신유형으로 꼽혔다.
이호준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