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의 내년 6·13 지방선거 준비기구인 지방선거기획단이 다음 달부터 최대 쟁점 사안인 경선 룰 논의에 착수, 차기 경기지사 출마 예상자들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민주당의 최근 ‘지지율 고공행진 현상’으로 경기지사 탈환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진 만큼 경선 룰을 놓고 후보 간 신경전도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26일 민주당에 따르면 지방선거기획단은 다음 달부터 지방선거 경선 룰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에 돌입한다. 현행 당헌·당규상 공직선거후보자 추천을 위한 경선은 ‘권리당원 50% 이하, 일반 유권자 50% 이상’ 규칙을 적용하게 돼 있다.
다만 해당 규정의 비율 자체가 변화할 가능성은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앞서 추미애 대표가 정당발전위원회를 출범하는 과정에서 경선 비율을 손보려 한다는 의혹이 제기되자 당내 반발이 확산한 바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확실성이 높은 권리당원보다는 불확실성이 높은 일반 유권자 50%를 어떻게 반영하느냐가 경선 결과를 좌우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이와 관련, 인지도보다는 당내 조직력이 강한 후보자들의 경우 여론조사 방식보다는 조직을 앞세울 수 있는 선거인단 모집 방식을 선호하고 있다.
반면 조직력보다는 대중적 인지도가 장점인 후보자들은 여론조사 방식을 주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선거인단 모집 방식으로 경선을 치를 경우 일반당원 등을 더 많이 확보한 후보가 유리해 자칫 조직선거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강력한 차기 경기지사 후보군으로 거론되는 전해철 경기도당위원장(안산 상록갑)과 이재명 성남시장 측에서도 출마를 전제로 경선 룰에 대한 입장차를 시사했다.
전 도당위원장의 경우 친문(친문재인)진영의 전폭적인 지지를 받는 데다 조직력에서 앞서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 만큼 선거인단 모집 방식이 유리할 것으로 관측된다.
전 도당위원장 측 관계자는 “지난 대선 당시 민주당이 일반 국민을 상대로 선거인단을 모집해 선거 흥행과 대선 승리를 이룬 만큼 이번 지방선거에서도 이 같은 방식이 적용돼야 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이에 반해 탄핵 정국과 대선 경선을 거치며 인지도를 쌓으며 ‘전국구 정치인’이 된 이 시장 측은 일반 여론조사 방식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이 시장 측 관계자는 “임창열 전 경기지사를 제외하고는 매번 보수진영 후보들이 경기지사로 당선됐는데 이제는 바뀌어야 한다는 열망이 있다”며 “경선참여의 벽을 낮춰 가능한 많은 도민이 참여할 수 있는 방식을 도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만 경선 룰이 민감한 문제인 만큼 지방선거기획단 차원에서 큰 방향만 정하고 세부사항은 지역별 후보 간 합의하도록 할 가능성도 있다. 민주당은 지난 2014년 6·4 지방선거 때도 단일 경선 방법을 제시하지 못하면서 경기도에서는 김진표·김상곤·원혜영 당시 예비후보가 막판까지 경선 룰을 놓고 진통을 겪었다.
송우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