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인천지역 광역·기초의원 선거 출마 예정자들에게는 선거구 획정 결과가 초미의 관심사로 꼽히고 있다.
선거구 획정 최종 결과에 따라 광역의원 정수 증감과 선거구 조정, 선거제 개편 등의 메가톤급 변수가 나타날수 있기 때문이다.
26일 지역 정가에 따르면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정개특위)는 공직선거법에 따라 내년 6월 13일 지방선거가 열리기 6개월 전까지 광역의원 선거구 획정 및 기초의원 총정수를 정할 계획이다.
정개특위의 선거구 획정은 내년 인천지역 시의원 및 군·구의원 선거의 큰 변수가 될 수 있어 중요하다. 광역의원 총정수가 바뀌거나 선거구가 조정될 수 있고, 이에 따른 선거구별 지지 정당의 판도 역시 확 바뀔 수 있다. 출마 예정자들이 선거구 획정을 예의주시하는 이유도 마찬가지다.
현재 인천 내에서 조정될 가능성이 있는 시의원 선거구는 8곳으로 꼽히고 있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자유한국당 박덕흠 의원이 행정안전부로부터 받은 ‘내년 지방선거 대비 시·도의원 선거구 조정대상 지역’ 자료에서 10월 말 기준으로 선거구별 인구 수에 따라 조정이 필요한 인천시의원 선거구는 중구 1·동구 1·동구 2·서구 1선거구 등 총 4곳이다.
공직선거법은 ‘같은 시·도에서 시·도의원 1인당 평균 인구를 최소 40%, 최대 160% 범위 이내로 맞춰 선거구를 획정해야 한다’고 정하고 있다.
이 기준을 비롯해 인천의 주민등록인구(294만8천98명)와 시의원 선거구(31개)를 함께 고려하면 시의원 1명당 평균 인구 상한선은 15만2천159명, 하한선은 3만8천39명이다.
현재 시의원 선거구 중에서 상한선보다 많은 인구를 가진 선거구는 서구 1선거구이고, 하한선보다 적은 인구를 가진 선거구는 중구 1·동구 1·동구 2선거구이다. 특히 동구는 선거구 2곳 모두 하한선보다 인구가 적어 1곳의 선거구가 폐지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또 국회의원 선거구와 일치하지 않는 연수 2(옥련1·동춘2·동춘3동)·부평 1(부개2동)·부평 5(산곡4동)·서구 2선거구(검암경서동)도 국회의원 선거구와 일치하지 않아 조정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와 함께 군·구의원 선거구는 정개특위가 정하는 기초의원 총정수 및 광역의원 선거구 획정, 군·구의원 선거구획정위원회의 4인 선거구 확대 여부 등에 따라 변화를 겪게 될 전망이다.
지역 정가 관계자는 “이미 지역에는 자신이 예상하는 선거구 획정안을 토대로 상향출마 등을 생각하는 인사들도 있다”며 “지지 정당 차이가 뚜렷한 원도심과 신도심이 섞인 선거구는 선거구 획정이 큰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김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