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됐던 기업자금 회수까지 매년 시간 더 걸려

국내 제조·유통업들이 투자됐던 자금을 다시 기업으로 회수하기까지 해가 갈수록 시간이 더 많이 걸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하대 정석물류통상연구원이 29일 발표한 ‘우리나라 제조·유통기업의 공급망관리(SCM) 성과 측정과 추이 연구’에 따르면 2012년부터 지난해까지 외부 감사 대상법인 2천239곳을 조사한 결과, 국내 제조·유통업들의 ‘현금화 사이클 타임’이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공급망관리는 모든 공급망 단계를 최적화해 수요자가 원하는 제품을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또 현금화 사이클타임은 투자됐던 자금이 다시 기업으로 회수되는 시간을 의미한다.

 

이 중 제조업의 현금화 사이클타임은 대기업의 경우, 2012년 85.1일에서 지난해 87.3일로 2.2일 증가했다.

 

같은 기간 중소기업은 87.1일에서 97.9일로 10.8일이나 늘어났다.

 

시간이 지날수록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격차도 더 커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번에 처음 조사한 유통업 분야의 경우, 대기업은 2012년 42.2일에서 지난해 57.4일로 15.2일 증가했으며, 중소기업 역시 같은 기간 75.2일에서 84.5일로 9.3일이 늘었다.

 

세부업종별로는 제조업 분야에선 자동차 업종이, 유통업에선 자동차·부품 판매업이 빠른 유동성을 보였다.

 

이와 함께 중소기업 비중이 높은 섬유업의 현금화 사이클타임은 2012년보다 지난해 36.1일 늘었으며, 도매·상품중개업은 같은 기간 16.6일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번 연구를 진행한 권오경 인하대 아태물류학부 교수는 “제조업은 최근 중소기업의 현금 회수시기가 악화하는 추세를 보였고 대기업과의 격차도 커지고 있다”며 “유통업 또한 전반적으로 악화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어 보다 효과적인 재고운영관리 방안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김준구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