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산부 전용 주차구역’ 사회적약자 주차석과 통합 여론 솔솔

‘임산부 전용 주차구역 설치’가 사회적 쟁점으로 떠오르는 가운데 주차 구역별 통합운영을 해야 한단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임산부 전용 주차구역 설치는 지난 4월 모 방송 프로그램인 ‘국민내각’ 편에서 국민의원으로 나온 출연자의 제안에서 시작됐다.

 

이후 박주민 국회의원이 지난 9월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 개정안을 대표 발의하는 등 확대되고 있다.

 

인천의 경우 지난 2012년 제정된 ‘인천시 임산부 전용주차구역 설치 운영에 관한 조례’에 따라 인천시 청사에 4면이 확보됐고, 사업소 12곳에 25면이 있으며 10개 군·구 청사에 33면이 있다.

 

인천시는 앞으로 계속 확대 운영할 계획이다.

 

이 같은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임산부 주차구역을 다른 사회적 약자 주차구역과 통합운영해야 한다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

 

A씨(35·여)는 “예전에 임신했을 때 주차할 곳이 없어서 가끔 장애인 전용주차구역에 차를 세운 적이 있었는데, 몰상식한 행동으로 비칠까 봐 혼자 창피해 한 적이 있었다”며 “임산부에 대한 사회적 공감과 배려가 확대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B씨(36)는 “평소 여성전용과 장애인전용 주차구역은 텅텅 비어 있는 경우가 많고, 차가 주차돼 있더라도 제대로 관리가 이뤄지지 않아 일반인이 몰래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며 “차라리 임산부들이 이들 구역을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정부가 방안을 마련하는 게 현실적인 방법일 것”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시민도 “요즘은 전국적으로 어르신전용 주차구역까지 생기는 분위기인데, 임산부들이 보다 많은 주차구역을 편안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기존 사회적 약자 전용주차구역을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배려하면 좋을 것”이라고 말했다.

 

백승재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