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6월13일 치러지는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경기·인천 광역의원 선거구는 지금보다 총 13곳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의 지방의원 선거구 획정 결과는 내년 경기·인천지역 정치권의 판세를 좌우할 수 있기 때문에 출마 예정자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29일 본보가 입수한 행정안전부의 ‘시·도의원 선거구 획정 및 지방의원정수 조정안(초안)’에 따르면 내년 지방선거에서 광역의원 선거 의원정수는 전국적으로 총 17명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이 경우 광역의원 정수는 현행 663석에서 680석으로 늘어나게 된다. 지역별로는 경기가 12석으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 서울 4석, 인천 1석 등이다. 이렇게 되면 현재 116곳인 경기도의원 선거구는 128곳으로, 31곳인 인천시의원 선거구는 32곳으로 늘어난다.
경기에서는 국회의원 선거구가 신설된 지역을 중심으로 도의원 수가 증가할 것으로 관측된다. 당초 도내 선거구는 지난 19대 국회 당시 52개였으나 지난해 4·13 총선 과정에서 8개 선거구가 증가, 총 60개 선거구가 됐다.
이와 관련, 공직선거법상 광역의원 기본정수는 시·군·자치구(2명 이상의 국회의원 지역구로 된 경우는 국회의원 지역구) 수×2로 규정돼 있다. 현재 도의원이 각 9명, 5명인 수원, 남양주의 경우 수원무, 남양주병 선거구가 신설되면서 도의원 수가 각각 1명씩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도의원이 3명인 김포도 김포을 선거구가 새로 생기면서 도의원이 1명 증가하는 등 조정될 것으로 예상된다. 마찬가지로 화성병, 군포을, 광주을 선거구가 신설된 화성, 군포, 광주 역시 도의원이 각각 2명씩 늘어날 가능성이 큰 상태다.
여기에 평택의 경우 주한미군 이전과 세계최대 규모의 삼성전자 평택캠퍼스 가동, 소사벌지구 택지개발 등으로 평택을 선거구 인구가 급증, 도의원이 4명에서 5명으로 증가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고양갑, 고양병 선거구도 인구 증가로 각각 도의원이 1명씩 늘어날 전망이다.
인천에서는 국회의원 선거구 신설 지역인 연수을과 인구가 늘어난 부평갑에서 각각 시의원 1곳씩이 증가할 가능성이 크다. 다만 동구 1·2의 경우 인구가 적어 헌법재판소의 인구편차 기준에 걸릴 수 있어 1곳이 폐지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다만 이 같은 조정안은 아직 확정된 사안이 아닌 만큼 정개특위 논의 과정에서 변경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행안부 관계자는 “해당 조정안은 정개특위에 정식으로 제출된 것이 아닌 참고 자료로, 최종안은 다음 달 5일 국회 정개특위에 보고될 예정”이라며 “최종 선거구 획정은 정개특위 논의 과정을 통해 결정된다”고 설명했다.
송우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