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원ㆍ달러 환율 하락으로 중소ㆍ중견기업이 환차손 등의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10곳 중 3곳은 환위험에 대한 대책이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30일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최근 중소ㆍ중견기업 212개사를 대상으로 원ㆍ달러 환율의 1천100원 이하 하락에 따른 수출기업 피해현황을 조사한 결과 기업의 74.0%가 환율 하락으로 인한 가장 큰 어려움으로 환차손을 꼽았다. 이어 수출 물량 감소(10.9%), 계약 차질(10.9%) 등이었다. 영향이 없다는 응답은 4.2%에 그쳤다.
기업들은 환율 하락에 대한 대책으로 비용절감(35.4%), 가격 인하(33.0%), 환변동보험 등 환리스크 관리(23.6%) 등을 주로 하고 있었다. 환율하락에 대한 대책이 없거나(30.7%), 환율이 상승할 때까지 수출을 포기한다(8.5%)는 답변도 나와 속수무책으로 피해를 보는 기업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들은 손익 분기점 환율로 평균 1천114원, 최적의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적정 환율은 평균 1천155원이라고 응답했다.
무역협회는 환율하락 기조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면서 중소 수출기업 2천 개사를 잠재적 ‘환율하락에 따른 피해기업’으로 설정하고 무역보험공사의 ‘일반형 환변동보험’ 가입을 긴급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또 경기도를 비롯한 지역별 순회 설명회를 열어 환위험 관리를 위한 정보를 제공할 예정이다.
정자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