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가 아주대 권역외상센터 관련 예산을 212억원 증액하기로 합의했다. 지난달 13일 귀순한 북한군 병사를 살려낸 이국종 아주대병원 교수가 국내 권역외상센터의 문제점을 지적한 발언이 국민들의 지지를 얻은 데 따른 결과다. 이와 함께 아주대학교병원 중증외상센터에 기업체는 물론 일반 시민의 후원이 쇄도하고 있다.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의 더불어민주당 간사인 윤후덕 의원(파주갑)은 3일 “(민주당·자유한국당·국민의당 간사들이 모여) 공통 정책 과제를 놓고 증액 논의를 했다”면서 “권역외상센터 예산은 증액하기로 합의했다”고 말했다.
자유한국당 간사인 김도읍 의원도 전화 통화에서 “의사, 간호사 인건비 지원과 수도권 헬기 한 대 도입 등을 위해 권역외상센터 예산을 212억원 늘리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보건복지부는 당초 내년 중증외상전문진료체계 구축 예산, 즉 권역외상센터 관련 예산을 올해보다 8.9%(39억2천만 원) 줄인 400억4천만 원으로 편성해 국회에 제출했다. 지난해 다 쓰지 못한 관련 예산이 100억여 원에 달한 데 따른 편성인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이 교수의 북한군 치료를 계기로 열악한 권역외상센터의 문제점이 다시 한 번 수면 위로 드러났고, 정부 지원 예산마저 줄었다는 소식이 알려지면서 권역외상센터 예산을 증액해야 한다는 국민적 목소리가 커졌다.
권역외상센터 지원 강화를 요청한 청와대 국민청원은 이미 20만명이 넘는 동의를 받아 정부 및 청와대 관계자(각 부처 장관, 대통령 수석비서관, 특별보좌관 등)의 답변을 기다리고 있는 상태다. 이낙연 국무총리는 지난달 24일 권역외상센터에 대한 개선방안 마련을 지시한 적이 있다.
결국 여야는 권역외상센터 예산 증액으로 화답했다. 마지막 절차라 할 수 있는 기획재정부의 동의를 얻어 여야 합의대로 증액이 성사되면 내년도 권역외상센터 예산은 612억 원으로 늘어난다.
한편 아주대병원에 따르면 지난달 20일 이후 병원으로 150여건에 이르는 발전기금 기탁 문의가 접수됐으며 이중 실제 후원으로 이어진 사례는 현재 기업체와 개인 및 단체를 포함해 도두 80여건에 달하고 있다.
강해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