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실징후가 있는 중소기업 174곳이 올해 구조조정 대상에 올랐다. 이 가운데 절반 이상이 경영 정상화 가능성이 없다는 진단을 받았다.
금융감독원 5일 발표한 ‘2017년 중소기업 신용위험평가 결과’에 따르면 올해 구조조정 대상(C등급 61개·D등급 113개)은 176곳으로 지난해보다 2곳 줄었다. 코스닥 상장사도 1곳 포함돼 있다.
C등급을 받은 중소기업은 61곳으로 지난해보다 10곳 줄었다. C등급은 부실 징후가 있지만, 경영 정상화 가능성이 있는 기업이다. 이들 기업은 신용위험 평가 결과를 통보받은 날로부터 3개월 내에 워크아웃을 신청하고, 경영 자구안을 제출해야 한다. 반면 사실상 퇴출 대상인 D등급 기업은 113곳으로 작년보다 8곳 늘었다. D등급 기업은 채권은행의 지원 없이 법정관리를 신청하거나 자체 정상화를 추진해야 한다.
구조조정 대상 중소기업은 2011년 77곳에서 2012년 97곳, 2013년 112곳, 2014년 125곳으로 서서히 증가하다 2015년 175곳, 2016년 176곳으로 급증했다. 금감원은 3년 연속 이자보상배율이 1 미만(연간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을 감당하지 못한 기업)이거나 현금흐름이 마이너스인 회사, 자본이 완전잠식된 회사 등을 대상으로 신용위험 세부평가를 한다.
업종별로는 기계제조업(26곳), 금속가공품 제조업(23곳), 자동차부품제조업(16곳), 도매·상품중개업(14곳), 부동산업(11곳) 등의 순서였다. 특히 자동차부품과 기계업종의 구조조정 대상 기업구사 지난해보다 각각 11곳과 7곳 증가했다. 금감원은 자동차·조선업의 불황의 영향이라고 분석했다. 도매·상품중개와 부동산 등 내수업종도 지난해보다 각각 6곳과 4곳 늘었다.
전자부품이나 전기장비, 고무·플라스틱업종 등은 경기회복 등의 영향으로 부실기업수가 작년대비 각각 10곳, 6곳, 6곳 줄었다. 조선·해운·건설은 지난 수년간 강도 높은 구조조정 덕택에 구조조정 대상 기업수가 7곳으로 지난해보다 9곳 감소했다.
9월 말 현재 구조조정 대상 중소기업에 금융회사들이 빌려준 자금 규모는 1조6천34억 원으로 작년(1조9천720억 원)보다 줄었다. 은행권이 1조3천704억 원으로 85.5%를 차지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