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금리 인상과 내년도 최저임금 인상 등이 겹치면서 지역 중소기업들이 자금난을 우려하고 있다. 이에 따라 시중금리의 영향을 덜 받는 정책자금에 수요가 크게 몰릴 것으로 예상된다.
5일 도내 중소기업계 등에 따르면, 민간 금융권에서 돈을 빌린 중소기업은 기준금리 인상으로 대출금리 조정이 불가피해 걱정이 늘 것으로 보인다. 지역 기업들은 지난달 30일 한국은행의 금리 인상과 고정 인건비 증가 등에 따라 내년도 사업계획 경비가 5~10%가량 높아질 것으로 내다봤다. 화성시 A업체 관계자는 “벌써 대출 옥죄기 등의 압박이 있어 시중은행에서 돈을 빌리기 쉽지 않은데다, 인건비 상승에 따른 고정 지출 등으로 사업 계획비가 기존보다 최대 10%가량을 늘어날 것으로 전망돼 사업 계획을 짜기도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상당수의 중소기업이 내년도 정책자금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 중소기업 정책자금 금리는 중소기업진흥공단이 기발행한 채권 조달금리가 기준이 되기 때문에, 시중은행과 다른 방식으로 결정된다. 정책자금은 중소기업을 돕기 위한 지원책이라는 특성 탓에 기준금리가 올랐어도 정책자금 금리가 동결되거나 내려갈 가능성도 있다. 올해 정책자금 기준 금리는 2.30%로 내년도 역시 올해와 비슷한 수준으로 전망된다.
올해 경기지역에 배정된 중소기업 정책자금은 총 1조 360억여 원으로 지난해보다 274억 원이 더 늘어났다. 특히 창업자금이 전년보다 881억 원 더 증가한 가운데, 내년에도 수출과 창업 자금 등에 배분이 집중될 것으로 예상된다. 중소기업진흥공단 경기지역본부 관계자는 “시중금리가 오른만큼 내년도 정책자금 신청을 문의하는 전화가 벌써부터 오는 등 정책자금에 대한 업체들의 관심이 크다”며 “내년도 정책자금 금리는 부처 협의를 통해 이달 중하순께 공지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자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