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도컨벤시아 2단계 건립사업 국비확보 차질

내년 7월 준공 어쩌나 인천경제청 錢錢긍긍

내년 준공을 앞둔 송도컨벤시아 2단계 건립사업을 위한 국비확보가 차질을 빚게 돼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의 내년 예산 부담이 커질 것으로 우려된다.

 

6일 인천경제청과 지역정가에 따르면 송도컨벤시아 2단계 사업은 현 송도컨벤시아 옆에 6만4천71㎡의 기반시설을 확충하는 사업으로 2015년 12월에 착공에 돌입해 내년 7월 준공할 예정이다. 현재 공정률은 약 66%가량인 것으로 집계된다.

 

2단계 사업은 사업 초기인 2013년 당시 임대형 민자사업(BTL)으로 결정돼 사업비를 국비와 지방비 5:5 매칭사업으로 결정된 바 있다. 문제는 정부가 이 사업비를 ‘지역발전특별회계’ 중 ‘생활기반계정’으로 편성하면서 타지역의 반발을 불러왔다. 대전 등 이미 컨벤시아가 조성된 지역에서 형평성 문제를 제기한 것이다.

 

사정이 이렇자 인천시와 인천경제청, 지역 정치인들은 컨벤시아 2단계 사업비를 정부가 별도로 지원하는 ‘경제발전계정’으로 편성해줄 것을 줄기차게 요청했다.

특히 국회 예결위 소속인 더불어민주당 신동근 의원(서구을)·자유한국당 민경욱 의원(연수을) 등 2명의 인천 예결위원은 초당적으로 뭉쳐 예산 편성을 위해 기획재정부 등과 수차례 접촉하며 인천의 요구를 전달했다. 내년에 필요한 컨벤시아 2단계 사업비는 72억원 가량으로 국비로 받아야 할 사업비는 36억원 가량이다.

 

그러나 정부가 끝내 이 예산을 반영하지 않으면서 당장 내년 사업비 책정에 비상이 걸렸다. 인천경제청은 내년 몫 총 사업비의 절반인 30억원 가량을 자체예산으로 편성한 상태인데, 국비 확보가 불가능해짐에 따라 나머지 절반을 자체 예산으로 편성해야 할 처지에 놓였다.

 

또 내년 7월 컨벤시아 2단계 준공 이후 사업비 계산이 다시 이뤄질 경우 애초에 예상했던 부담액이 더욱 늘어날 가능성도 있어 경제청 다른사업에 악영향 마져 우려된다.

 

이에 대해 경제청의 한 관계자는 “내년 7월 준공 이후 사업비 규모가 달라질 수 있어 아직 정확한 규모를 파악하기는 어렵다”며 “추경예산에 반영하는 등 다양한 방안을 두고 논의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양광범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