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벨트 풀어 공공택지지구 9곳 청사진 ‘주거복지 로드맵’ 발표 이후
성남 금토동·복정동 등 인근 지역 토지 매입 문의 줄이어 ‘호가 껑충’
정부가 수도권에 대규모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을 해제해 공공택지지구 9곳을 개발하는 내용을 담은 ‘주거복지 로드맵’을 발표한 이후 그린벨트 해제 예정지역 주변 일대의 토지를 매입하려는 문의가 꾸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해당 지역의 땅값이 호가를 중심으로 껑충 뛰어오른 가운데 거래가 가능한 일부 매물이 나와 있어도 토지 면적이 넓어 매입 비용이 비싼 탓에 실제 거래로는 이어지지 않는 분위기다.
10일 업계와 현지 부동산 중개업소에 따르면 지난달 29일 정부가 주거복지 로드맵에서 공개한 성남시 금토동·복정동, 부천시 원종동·괴안동, 의왕 월암동 등 공공택지지구로 개발하는 그린벨트 해제 예정지 주변 토지를 매입하려는 문의가 끊이지 않고 있다. 공공택지지구 인근 땅들은 기반시설이 좋아지는 효과가 있어 땅값이 오를 수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둔 투자 수요들로 보인다.
그린벨트 내 토지가 수용된다는 소식을 접한 땅 주인들의 문의도 빗발치고 있다. 주로 토지 수용 보상가와 가격 전망에 대해 관심이 많았다는 전언이다. 지구 지정까지 짧지 않은 시일이 걸릴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지정 시점의 시세가 수용 가격에 반영되므로 땅값이 얼마나 오를지 관심을 두는 것이다.
이들 지역의 토지 시장은 그 사이 호가가 껑충 뛰어올랐으며, 땅 주인들이 정부 발표 후 매물을 거둬들이기도 했다. 현지 중개업소에 따르면 금토동 그린벨트 내 전(밭)은 지난 7월 3.3㎡당 100만 원에 거래됐으나 지금은 도로에 붙어있는 물건의 경우 250만 원을 호가한다. 또 금토동의 그린벨트 해제 예정지역 인근에 집(건물)을 지을 수 있는 대지는 몇 달 전 3.3㎡당 800만 원 하던 것이 대책 발표 후 1천만 원 이상 호가하고 있다. 일부는 3.3㎡당 1천200만~1천500만원까지 치솟은 것으로 알려졌다.
부천 원종동의 경우도 거래 가능한 토지의 3.3㎡당 호가가 2배 가까이 뛰어올랐고, 남양주 진접읍도 택지예정지구 인근의 물건이 다 사라지고 호가가 배로 뛰는 등 그린벨트 해제 소식에 주변 지역 토지 시장이 들썩이고 있다. 성남시 복정동의 경우는 땅을 살 수 있느냐는 문의는 잇따르는 데 거래 가능한 물건이 거의 없는 상태다.
정부의 공공택지지구 발표 이후 일부 지역에서는 ‘기획부동산(그린벨트 내 토지를 헐값에 대량 매입해 웃돈을 붙여 여러 필지로 쪼개 파는 업체)’이 등장하는 부작용도 나타나고 있다. 이처럼 그린벨트 인근 토지에 ‘투기 바람’이 불면 주변 지역의 집값 상승을 부추길 소지가 크므로 투기를 차단할 조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토부는 그린벨트 해제 예정지역이 벌써 ‘투기장화’되고 땅값이 들썩인다는 지적이 나오자 “공공주택지구의 동향을 지속해서 모니터링하고 있다”며 “필요시 관계기관과 협조해 불법행위 점검을 강화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조성필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