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文, 하늘길이라도 꼭 열고 돌아오길’ / 여행업계·지자체의 기대는 절박하다

‘롯데만 빼고…’ 생색내기 안돼
실질적·완전한 해제 챙겨와야
관광 행정 마비 지자체도 ‘간절’

문재인 대통령이 내일부터 중국을 방문한다. 시진핑 주석과 정상회담을 개최한다. 여행업계의 기대가 애처로울 정도다. 금한령(禁韓令)으로 인한 고통이 한계를 넘었다. 지난달에 일부 해제 소식이 전해지긴 했다. 하지만, 실질적으로 달라진 게 없다. 중국 정부는 여전히 단체 여행객들의 방한 비자 발급을 거부하고 있다. 그나마 롯데 관련 여행 상품은 전혀 풀리지 않았다. 이후 단체 관광이라야 아시아나 항공이 2일 유치한 일행들이 전부다.

중국의 사드(THAADㆍ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보복은 우리 경제 전반을 겨냥하고 있다. 경제계 전체의 문제일 수 있다. 하지만, 그 타격의 정도는 다르다. 많은 업종의 경우 상호 보완적이다. 중국 역시 우리에게 의존하는 영역이 상당하다. 시간이 흐르면서 점차 정상 궤도를 찾고 있다. 11월 수출은 496억7천만 달러였다. 이 중에 중국 수출이 140억2천만 달러를 기록했다. 사상 최대다. 결국, 사드 보복의 유일하면서 진행형인 타깃은 여행업계다.

여기에 지자체의 금한령 피해도 한계에 왔다. 민선 지자체에서 관광은 지역민을 직접 챙기는 행정이다. 너나없이 관광행정에 투자해왔다. 이 모든 노력들이 실종됐다. 2016년 7월과 2017년 4월을 비교한 경기도의 빅데이터 자료가 있다. 전체 중국 관광객 72%가 감소했다. 용인시는 문화ㆍ레저 업종에서 68% 감소했고, 수원시는 숙박 업종에서 55.6% 감소했고, 파주시는 쇼핑 업종에서 40.7% 감소했다. 1년여 만에 완전히 무너진 관광행정이다.

일부 지자체가 탈(脫)중국을 외치며 관광 다변화를 꾀하고 있다. 하지만, 결실까지는 많은 시간이 필요한 작업이다. 시장 군수들이 이번 정상회담에서 듣고 싶어 하는 첫 번째 소식으로 금한령 해제를 꼽는 이유다.

문 대통령의 이번 방중에는 기대와 우려가 교차한다. 무엇을 얻어낼 것인가가 기대고, 무엇을 잃을 것인가가 우려다. 현재로서는 어느 쪽도 담보할 수 없다. 1992년 국교정상화 이후 가장 꼬인 한중 관계다. 북핵위기가 전례 없고, 사드 갈등은 대책 없다. 빈손 귀국이라는 초라한 결과로 돌아올 가능성도 있다. 그래서 선택과 집중이라는 외교 전술이 필요하다. 그 최소 조건이 ‘금한령의 완전한 해제’다. 문 대통령이 반드시 들고 와야 할 결과물이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