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시의회 의원연구단체, 통학환경 개선방안 연구
도내 교통사고 ‘최다’… 통학버스 98% 미세먼지 배출
어린이보호구역 지정도 학교 329곳 중 ‘절반’ 그쳐
이미경 시의원 “통학車 전용구역 설치 등 정책 반영”
11일 수원시의회에 따르면 수원시의회 의원연구단체인 ‘수원시 어린이 통학환경 개선방안 연구회(대표의원 이미경)’는 약 2천만 원의 예산을 들여 지난 8월 아주대학교 지속가능스마트교통 연구센터에 ‘수원시 어린이 통학환경 개선방안 연구’를 의뢰했다.
연구결과 수원시내 어린이보호구역 지정대상(유치원, 초등학교, 특수학교 등) 329개소 중 어린이보호구역으로 지정된 곳은 166곳으로, 50% 수준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어린이 교통사고는 지난해 286건이 발생, 경기도내 31개 시ㆍ군 중 가장 많은 건수를 기록했으며, 이 가운데 9건은 스쿨존에서 발생한 사고로 나타났다. 특히 수원시는 지난 2012년부터 지난해까지 17건의 어린이 통합버스 교통사고가 발생, 통합버스 교통사고 건수에서도 도내 31개 시ㆍ군 중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와 함께 현재 경찰청에 신고된 수원시 통학차량 1천495대 중 98%에 달하는 1천468대가 경유차인 것으로 조사됐으며 이 중 390대는 브레이크 성능 및 미세먼지 배출 기준 검사에서 부적합 판정을 받은 차량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수원시 어린이들의 통학환경이 사고 위험과 미세먼지에 노출돼 있는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연구팀은 △통학차량 전용구역 설치 △저공해스쿨존 설치 △녹화버스 및 녹화승차장 조성 등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통학차량 전용구역은 저공해 통학차량을 대상으로 교통혼잡을 유발하지 않는 범위에서 어린이 보호구역에 5분간 정차를 허용, 저공해 통학차량을 확산하는데 기여하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저공해스쿨존은 어린이 보호구역에서의 교통사고와 미세먼지 노출을 차단하기 위해 등하교 시간에는 저공해 자동차만 통행을 허용하는 제도다. 녹화버스 및 녹화승차장 조성은 스페인 등 유럽에서 이미 시행되고 있는 제도로, 통학차량의 윗부분에 잔디 등을 심어 녹화버스를 만들고, 승차장을 작은 정원으로 가꿔 미세먼지를 줄이는 내용이다.
이번 연구를 주도한 수원시의회 더불어민주당 이미경 의원은 “수원시 아이들의 통학 환경이 사고위험과 미세먼지에 노출돼 있는 것이 드러난 만큼 이번 연구에서 대안으로 제시된 정책들이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호준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