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대출 둔화세 나타나…올해 11개월 동안 29조원 감소

지난달 10조원, 1~11월 84조원 대출…“올해 안 가계대출 연착륙” 전망

▲ 금융위원회가 있는 정부서울청사. 사진/경기일보DB
▲ 금융위원회가 있는 정부서울청사. 사진/경기일보DB

[서울=경기일보/민현배 기자] 국내 가계 대출 증가세가 둔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11월중 전 금융권 가계대출은 10조1천억 원 증가해 전년 동월(15조2천억 원) 대비 5조원 가량 떨어지며 증가세가 둔화됐다.

1~11월까지 가계대출 증가규모는 84조5천억 원으로 전년 동기(114조원) 대비 29조5천억 원이 떨어졌다.

업권별로는 은행권에서 6조6천억 원 증가해 전년 동월(8조7천억 원) 대비 증가세가 둔화됐다. 1~11월 기준으로는 54조7천억 원 증가해 전년 동기 10조7천억 원 줄었다.

11월 주택담보대출은 3조 원 증가해 전월보다 4천억 원 감소했다. 같은 기간 기타대출은 3조7천억 원으로 전월 대비 2천억 원 증가했다.

제2금융권은 11월 중 3조4천억 원 증가해 전년 동월 대비 약 3조원 가량 떨어졌다. 1~11월 기준으로는 29조9천억 원 증가하며 전년 동기와 비교할 때 증가규모 약 18조8천억 원 감소했다.

상호금융은 11월중 1조4천억 원으로 주택담보대출과 기타대출을 중심으로 증가세를 보였다. 전년 동월 대비 증가규모가 약 2조5천억 원 감소했다.

보험은 11월중 1조1천억 원이 늘었지만 전년 동월 대비 증가규모가 5천억 원 감소했다. 저축은행, 여신전문금융사의 경우 11월중 저축은행은 3천억 원이 늘고 여전사는 6천억 원이 발생했다.

금융위 관계자는 “현행 안정화 추세가 연말까지 이어지면 올해 안에 전 금융권 가계대출 증가율은 한 자릿수로 연착륙할 것으로 전망한다”며 “다만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과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전망 등 취약차주를 중심으로 원리금 상환부담이 가중될 우려가 있으므로 이에 대한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