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안양시 2곳…광명·시흥·남양주
道, 2021년까지 45곳 구도심 주거개선
2026년까지 총 사업비 6천490억 투입
정부는 14일 제9차 도시재생특별위원회를 개최해 전국 도시재생 뉴딜 시범사업지 68곳을 의결했다. 시ㆍ도별로는 경기도에서 가장 많은 8곳이 선정됐다. 도시재생 뉴딜은 재개발 등 전면 철거방식을 수반하는 기존 정비사업과는 달리, 도시의 기존 틀을 유지하면서 주거 환경을 개선하고 도시 활력을 높이는 방식이다.
도내 선정 지역은 △면적 5만㎡ 이하 우리동네살리기 2곳(고양시 원당동ㆍ안양시 박달동) △5만~10만㎡ 주거지지원형 2곳(안양시 명학동ㆍ광명시 광명5동) △10만~15만㎡ 일반근린형 1곳(고양시 화전동) △20만㎡ 내외 중심시가지형 3곳(수원시 매산동ㆍ시흥시 정왕동ㆍ남양주시 금곡동) 등이다.
이들 지역에는 앞으로 3~5년간 국비 850억 원과 지방비 566억 원이 지원된다. 앞서 경기도는 지난 10월 도시재생뉴딜 공모사업을 통해 접수된 19개시 31개 지역 중 9개시 16개 지역을 후보지로 선정해 정부에 신청했다.
도는 이날 사업 대상지로 선정된 8개소를 시작으로 매년 10개소를 선정해 오는 2021년까지 45개 구도심에서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이 지역에는 2026년까지 사업비 총 6천490억 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도는 올해 도시재생 특별회계를 마련해 190억 원의 예산을 확보했으며, 매년 100억 원 규모의 재원을 추가로 확보할 계획이다.
도 관계자는 “도내 553개 읍ㆍ면ㆍ동 가운데 232개가 쇠퇴지역으로 분류되는 등 구도심 도시재생사업이 시급하다”며 “내년에도 전체 사업량의 10% 이상이 선정되도록 노력해 도시재생사업을 원활히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도시재생특별법상 쇠퇴지역은 인구와 사업체가 3년 이상 감소하면서 20년 이상 된 노후건축물 비중이 50% 이상인 지역(읍·면·동)을 말한다.
한편 뉴딜 사업을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사업의 비전과 정책 과제, 중장기 계획 등을 담은 ‘도시재생 뉴딜 로드맵’이 내년 초 발표될 예정이다.
권혁준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