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시가 내년도 안전문화운동 기본방향을 ‘풀뿌리 안전문화운동’으로 정하고, 시민의 자발적 실천을 바탕으로 생활 속 안전문화 정착을 위해 노력하기로 했다.
수원시는 19일 시청 재난안전상황실에서 염태영 수원시장과 정근호 경기일보 편집국장 등 위원 2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2017 안전문화운동 추진협의회’ 정기회의를 열었다. 참석자들은 ‘풀뿌리 안전문화운동’ 추진을 위한 민관 협력방안을 논의했다.
‘풀뿌리 안전문화운동’은 관 주도에서 벗어난 시민 주도형 안전문화 활성화 운동으로, 시민 참여와 실천 유도(Action-oriented, 실천 중심), 시민이 앞장서고 정부·지자체가 적극 지원(Bottom-up, 상향식), 선택과 집중을 통한 성과 창출(Concentration, 집중) 등 ‘ABC 전략’으로 추진된다. 회의에선 풀뿌리 안전문화운동을 위한 3대 핵심수단으로 ‘안전신고’, ‘안전교육’, ‘안전점검’이 제시됐다.
2017년 한 해 동안 진행된 수원시 안전문화운동 추진사항 보고도 이뤄졌다. 참석자들은 ▲4개 동(서둔·연무·영화·원천동)의 ‘수원 안전마을’ 사업 ▲4개 초등학교(송정·영일·오현·천일초)에서 진행한 ‘수원 안전학교’ 사업 ▲지난 10월 만석공원에서 4천여 시민과 함께 진행한 ‘제4회 시민 안전체험 한마당’ ▲초등학교 주변 어린이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옐로카펫’ 사업 ▲시 소재 유치원·초등학교·노인정·복지시설 등을 통해 93회에 걸쳐 진행한 ‘찾아가는 맞춤형 안전교육’ 등이 시민 안전의식을 높이는 데 이바지했다고 평가했다.
한편 지난 2013년 9월 출범한 수원시 안전문화운동 추진협의회는 안전문화운동을 위한 민관 협력방안과 실천과제를 발굴하는 회의로, 공동위원장(수원시장, 수원시새마을회장) 2명과 교육장·소방서장·경찰서장, 안전관련 공사·공단·교육지원청·민간기업·시민단체·언론사 관계자 등 당연직·위촉직 위원 31명으로 구성된다.
유병돈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