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차 실사… 교통안전·범죄·자살예방 등 7개 기준 적합 심사
내년 초 스웨덴 공인센터 2차 실사 후 5월 공인 선포식 예정
시는 20일 시청 중회의실에서 조준필 국제안전도시지원센터장과 박남수 지역사회건강안전연구소장 등 2명으로부터 국제안전도시 공인 인증을 위한 1차 현지 실사를 받았다.
이날 2명의 국내 실사평가위원은 그동안 시가 추진해온 교통안전, 범죄 및 폭력예방, 재난안전, 낙상 예방, 자살예방 등 분과별 추진상황 보고를 받고 국제안전도시 7개 공인기준 적합 여부 등을 심사했다.
시는 1차 현지 실사 후 문제점을 보완, 내년 2~3월 스웨덴 국제안전도시 공인센터의 2차 본 실사를 거쳐 내년 5월 국제안전도시 공인 선포식을 개최하다는 계획이다.
국제안전도시는 ‘도시의 구성원들이 자율적으로 안전을 위협하는 요인들을 파악, 지속적인 관리 등을 통해 안전한 도시를 만들고자 노력하는 도시’를 의미한다.
조억동 시장은 “국제안전도시 사업의 최종 목표는 시민이 중심이 돼 함께 노력해 안전하고 살기 좋은 도시 조성에 있다”며 “앞으로도 다양하고 지속적인 안전증진 활동을 통해 각종 손상 원인으로부터 시민들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해 혼신의 노력을 다해 최고의 안전 도시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시는 지난 2014년 7월 민선 6기 출범과 함께 시민 우선 안전 도시 건설을 시정의 최우선 과제로 선정, 안전한 광주시 구현을 위해 WHO 사업모델인 국제안전도시 공인사업을 도입했다.
이어 같은 해 12월에는 광주시 안전도시 조례 제정을 통해 안전도시 사업의 제도적 기반을 마련, 안전도시 위원회와 분과별 실무위원회 등을 구성하고 안전증진 프로그램을 추진해 왔다.
광주=한상훈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