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선박을 이용하거나 휴전선을 넘는 방식으로 귀순한 사례가 늘었다.
21일 오전 북한군 초급병사 1명이 최전방 중서부 전선 우리 군 GP(비무장지대 소초) 전방으로 귀순했다. 특히 북한군 병사가 귀순하는 과정에서 북한군이 추격조를 가동했다. 지난달 13일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를 통해 북한군 병사가 총격을 입고 귀순할 당시에도 북한군은 추격조를 가동했다. 벌써 올해만 두 차례 가동된 추격조다.
과거 북한으로부터 군인이 넘어올 때와 다른 양상이다.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다양한 해석을 하고 있다. 잇따른 탈북으로 북한 내 감시가 삼엄한 상황에서 무리한 귀순이 촉발한 상황이라는 분석과 함께 북한군 내 소요로 인한 긴장 고조가 극에 달했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합동참모본부는 이날 브리핑을 통해 북한군 병사 귀순 직후 북한군 추격조가 군사분계선(DML) 인근으로 접근하자 20발의 경고사격을 가했다고 밝혔다.
합참은 “오늘 오전 9시24분께 (귀순한) 북한군 병사를 수색하는 북한군 추격조 수명이 군사분계선(MDL) 인근으로 접근한 것을 관측했다”면서 “이어 오전 9시30분께 경고방송과 함께 K-3 기관총 20발을 경고사격했다”고 발표했다.
이처럼 북한국 당국이 무리한 조치를 취하면서까지 군내 병사 이탈을 막는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한편, 군 당국은 올해 귀순자는 총 9회에 걸쳐 15명으로 파악된다고 밝혔다. 이 중 북한 군인은 4회에 걸쳐 4명이 넘어왔다. 지난해 군인 1명을 포함해 3회에 걸쳐 5명이 귀순한 것과 비교하면 귀순자 총 규모가 3배 늘었다.
정부의 한 관계자는 “작년과 비교하면 올해 귀순 사례가 좀 늘어났는 데 특별한 배경이 있는지 보고 있다”고 밝혔다. 대북 제재로 생활 형편이 어려워지면서 귀순자가 늘어난 것 아니냐는 분석도 있지만, 전체 탈북민 규모는 오히려 줄어들고 있어 의문이 제기된다.
올해 국내에 들어온 탈북민은 현재 961명으로 전년 동기보다 16.8% 감소했다. 김정은 정권 출범 이후 탈북민 단속이 강화됐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탈북에 주로 이용되던 북·중 루트에 대한 경비가 삼엄해지자 주민들이 해상을 통해 곧바로 귀순을 시도하는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
통일부는 지난해에만 귀순자가 유독 적었을 뿐 예년과 비교하면 올해 귀순자가 늘어난 것은 아니라는 입장이다.
통일부 당국자는 “2015년 해상을 통해 귀순한 북한 주민은 모두 7명으로 파악되고 있다”면서 “올해 귀순 규모가 특별히 많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설명했다.
강해인 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