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표 “한·중 수교, 초심 잊지 말고 법고창신 지혜 발휘해야”

中 베이징서 ‘새로운 대한민국 위한 정책·한중 교류 방향’ 특강
“산업·문화 쌍방향 소통 강화… 실질적 동반자 관계 구축해야”

▲ 김진표 특강2
▲ 더불어민주당 김진표 의원이 20일 중국 베이징 프렌드십 호텔 컨벤션센터에서 ‘새로운 대한민국을 위한 사회·경제정책과 한중 교류협력 방향’을 주제로 특강을 하고 있다. 김창학 기자
“문재인 대통령의 국빈 방중으로 사드문제가 해결되고 한·중 간 새로운 협력의 계기가 됐다”

 

국정기획자문위원장을 지낸 더불어민주당 김진표 의원(4선, 수원무)이 20일 한·중 교류협력 방향과 관련, “수교 당시의 초심을 잊지 말고 법고창신(法古創新, 옛 것을 본받아 새로운 것을 창조한다)의 지혜를 발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이날 중국 베이징 프렌드십 호텔 컨벤션센터에서 ‘새로운 대한민국을 위한 사회·경제정책과 한·중 교류협력 방향’을 주제로 가진 특강에서 “세계의 시장으로 진화한 중국의 생산력과 구매력을 기반으로 양국의 상호 비교우위를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윈-윈전략이 필요하다”며 이 같이 말했다.

 

김 의원의 중국 특강은 중국 공공외교 단체인 차하얼학회의 한팡밍(韓方明) 회장 초청으로 이뤄졌으며 같은 당 박정 의원(파주을)과 베이징대학 학생 300여 명이 참석했다.

 

그는 “한·중이 지난 25년간 지리적 인접성, 경제적 호혜성을 통해 교역, 투자, 관광 등 분야에서 상호 성장을 견인했는데 사드 문제로 잠시 위기를 겪었다”고 진단한 뒤 “인프라, 물류, 신산업 등 핵심 분야 협력과 문화교류에 대한 쌍방향적 소통을 강화해 양국이 실질적 협력동반자 관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그러면서 김 의원은 한·중이 나아가야 할 방향으로 ▲동북아 안보에 대한 책임공동체 ▲경제이익 선순환과 지역협력에 기여하는 이익공동체 ▲사회·문화 교류로 상호 이해를 높이는 인문공동체 등 세 가지를 제시했다.

 

이와 함께 김 의원은 ▲촛불시민혁명의 배경과 의미 ▲문재인 정부의 국가비전과 국정목표 ▲새 정부의 사회·경제정책 등을 소개했다.

 

그는 촛불시민혁명에 대해 “지난해 10월부터 20주에 걸쳐 1천700만 명의 시민이 광장에 모여 촛불을 들었다”며 “시민들의 자발적 참여 속에 비폭력 평화집회가 유지됐고 법질서를 잘 준수하며 변화를 이끌었다는 점에서 세계정치사상 직접민주주의의 새로운 이정표가 될 만한 사건”이라고 평가했다.

 

김 의원은 또 문재인 정부 국정운영 5개년 계획에 대해 설명한 뒤 “수요측면에서는 소득주도 성장을 통한 경제 패러다임의 전환이 있고 공급 측면에서는 거역할 수 없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선도하는 혁신성장전략”이라고 말했다.

 

베이징대학 학생들은 강연 이후 ▲중국의 일대일로 정책에 대한 대한민국과의 협력 방안 ▲소득주도 성장으로의 경제 패러다임 전환 방안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금융 서비스 변화 ▲미세먼지 등 환경정책 협력 등 정치·사회·경제·환경 분야에 대해 질의, 사드 이후 한·중 관계에 대한 관심을 쏟아내며 열기를 더했다

 

한편 김 의원은 이날 강연에 앞서 베이징 차하얼학회 회의실에서 ‘문재인 대통령 방중 이후 한·중관계의 새로운 추세’를 주제로 공공외교 전문가들과 비공개 좌담회를 가졌다.

베이징=김창학 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