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베이징서 ‘새로운 대한민국 위한 정책·한중 교류 방향’ 특강
“산업·문화 쌍방향 소통 강화… 실질적 동반자 관계 구축해야”
국정기획자문위원장을 지낸 더불어민주당 김진표 의원(4선, 수원무)이 20일 한·중 교류협력 방향과 관련, “수교 당시의 초심을 잊지 말고 법고창신(法古創新, 옛 것을 본받아 새로운 것을 창조한다)의 지혜를 발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이날 중국 베이징 프렌드십 호텔 컨벤션센터에서 ‘새로운 대한민국을 위한 사회·경제정책과 한·중 교류협력 방향’을 주제로 가진 특강에서 “세계의 시장으로 진화한 중국의 생산력과 구매력을 기반으로 양국의 상호 비교우위를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윈-윈전략이 필요하다”며 이 같이 말했다.
김 의원의 중국 특강은 중국 공공외교 단체인 차하얼학회의 한팡밍(韓方明) 회장 초청으로 이뤄졌으며 같은 당 박정 의원(파주을)과 베이징대학 학생 300여 명이 참석했다.
그는 “한·중이 지난 25년간 지리적 인접성, 경제적 호혜성을 통해 교역, 투자, 관광 등 분야에서 상호 성장을 견인했는데 사드 문제로 잠시 위기를 겪었다”고 진단한 뒤 “인프라, 물류, 신산업 등 핵심 분야 협력과 문화교류에 대한 쌍방향적 소통을 강화해 양국이 실질적 협력동반자 관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그러면서 김 의원은 한·중이 나아가야 할 방향으로 ▲동북아 안보에 대한 책임공동체 ▲경제이익 선순환과 지역협력에 기여하는 이익공동체 ▲사회·문화 교류로 상호 이해를 높이는 인문공동체 등 세 가지를 제시했다.
이와 함께 김 의원은 ▲촛불시민혁명의 배경과 의미 ▲문재인 정부의 국가비전과 국정목표 ▲새 정부의 사회·경제정책 등을 소개했다.
그는 촛불시민혁명에 대해 “지난해 10월부터 20주에 걸쳐 1천700만 명의 시민이 광장에 모여 촛불을 들었다”며 “시민들의 자발적 참여 속에 비폭력 평화집회가 유지됐고 법질서를 잘 준수하며 변화를 이끌었다는 점에서 세계정치사상 직접민주주의의 새로운 이정표가 될 만한 사건”이라고 평가했다.
김 의원은 또 문재인 정부 국정운영 5개년 계획에 대해 설명한 뒤 “수요측면에서는 소득주도 성장을 통한 경제 패러다임의 전환이 있고 공급 측면에서는 거역할 수 없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선도하는 혁신성장전략”이라고 말했다.
베이징대학 학생들은 강연 이후 ▲중국의 일대일로 정책에 대한 대한민국과의 협력 방안 ▲소득주도 성장으로의 경제 패러다임 전환 방안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금융 서비스 변화 ▲미세먼지 등 환경정책 협력 등 정치·사회·경제·환경 분야에 대해 질의, 사드 이후 한·중 관계에 대한 관심을 쏟아내며 열기를 더했다
한편 김 의원은 이날 강연에 앞서 베이징 차하얼학회 회의실에서 ‘문재인 대통령 방중 이후 한·중관계의 새로운 추세’를 주제로 공공외교 전문가들과 비공개 좌담회를 가졌다.
베이징=김창학 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