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정비단지 투트랙 조성 바람직”

국토부, MRO 사업자 KAI 선정… 경남 사천공항 최종 낙점
인천 경제단체 “군수분야 사천·민수분야 인천공항” 한목소리

정부지원 항공정비단지(MRO) 조성사업 사업자로 한국항공우주산업㈜(KAI)가 선정돼 경남 사천공항에 조성되는 것과 관련, 인천 경제단체들이 민수분야 MRO 단지만큼은 인천공항에 들어서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인천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과 인천상공회의소는 26일 공동논평을 통해 최근 국토교통부의 항공 MRO 사업자 선정에 대해 우려를 표시했다. 이번 MRO 사업자 선정이 경남 서남부지역 경제 활성화와 국가균형발전에 기여하겠지만, 항공정비사업이 서비스사업인 만큼 균형발전 논리 대신 근거리 정비서비스 체계 구축이 우선돼야 한다는 이유에서다.

 

이들은 “인천공항은 1일 1천회를 상회하는 엄청난 항공기 운항횟수를 보이고 있지만, 정비 불량으로 인한 결항률이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고 있어 항공기 운항 안전을 위한 근거리 정비서비스 구축이 시급하다”고 문제를 제기했다.

 

실제로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이학재 의원(바·서구갑)이 집계한 최근 5년간 인천공항에서 발생한 항공기 지연·결항을 보면 모두 3천600건(지연 3천362건, 결항 238건)에 달해 국내 공항 중 발생비율이 가장 높았다.

 

이렇다 보니 정부 차원에서 경남 사천공항 MRO 단지를 군수분야로 한정 짓고, 역할 분담 차원에서 인천공항 제4활주로 일대에 민수분야 중심의 항공기 정비서비스를 위한 정부지원 특화단지로 조성해야 한다는 주장이 인천지역사회를 중심으로 제기되고 있다.

 

김송원 인천경실련 사무처장은 “정부의 항공 MRO 산업 육성전략은 항공기 운항안전 확보에 우선순위를 두고 추진해야 한다”며 “국토부와 인천공항공사, 인천시가 공동으로 참여하는 논의기구를 구성해 인천공항의 지속 가능한 운항안전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국토교통부는 최근 항공정비 사업계획 평가위원회 심의 결과를 토대로 KAI를 정부지원 항공MRO 사업자로 선정했다. 국토부는 사업지인 경남 사천공항이 지리적으로 편중된 점을 인정했다. 그럼에도 국토부는 사천공항 주변에 항공우주산업단지 및 협력업체 60곳이 입주했다는 여건에만 높은 점수를 주고, 민간 항공기 이착륙 등 정비 수요를 외면한 채 MRO 사업자 선정결과를 발표해 논란을 자초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양광범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