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양·부천·군포·의왕 등 경기도내 노후공업지역을 제조-서비스가 융복합된 신(新)경제 창출의 거점으로 육성하자는 주장이 제기됐다.
경기연구원은 도내 노후공업지역의 현황을 조사하고 활성화 방안을 제시한 ‘경기도 노후공업지역 진단과 과제’ 보고서를 26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1970∼1980년대 지정된 안양·부천·군포·의왕 등 4개 시의 도심공업 지역 면적은 1천124만6천㎡로 서울디지털단지(구로)의 5.8배에 달한다. 2015년 기준 입주업체는 5천905개이며 종사자 수도 12만5천400명을 넘는다.
그러나 이들 시의 5년간(2010∼2015년) 제조업 고용증가율은 -0.5∼1.3%로 경기도 전체 평균 3.5%에 한참 미치지 못하는 상황이다. 제조업 침체에 따라 이들 시의 경제성장률은 연평균 4.5∼5.9%로 경기도 평균 7.4%에 비해 낮은 수준이다. 또한 경기도의 제조업 고용은 연평균 2.2%증가(2005년~2015년) 했지만 4개 지역의 고용 증가율은 ?1.0~0.1%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문미성 경기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이 같은 공업지역의 실태에 대해 정책지원의 사각지대에 처해 고부가가치업종으로의 구조 전환이 지체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한 혁신창출 공간으로 전환 ▲노후공업지역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 정비와 사업계획 수립 ▲도심 노후공업지역 활성화를 위한 종합계획의 수립과 시범사업 추진 ▲산업개발진흥지구 등 공업지역 지원제도 자체 마련을 노후공업지역 활성화 방안으로 제안했다.
문 선임연구위원은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한 혁신창출공간으로 전환하기 위해 도내 노후공업지역을 제조-서비스 융복합 신경제 창출의 거점으로 육성해야 한다”며 “특히 안양, 부천, 군포 등 공업지역별 특성을 반영한 발전계획을 수립하고, 발전 비전에 따른 산업마케팅과 구조 고도화 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진경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