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평창 동계올림픽과 동계패럴림픽대회 영광을 함께할 시상대와 관련 용품이 공개됐다.
평창올림픽ㆍ패럴림픽조직위원회는 27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2018 평창 동계올림픽대회 및 동계패럴림픽대회 시상식 언론 발표회’를 열고 동계올림픽·패럴림픽 시상대와 시상요원 의상, 시상 트레이, 시상품, 시상 음악을 공개했다.
시상대는 한국 전통 건축 양식인 기와지붕과 단청, 그리고 기와지붕에 내려앉은 눈의 모습을 연상시키는 순백의 컬러를 적용했다. 시상대는 나무 재질에 우레탄 방수 코팅을 했고, 선수들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특수 패드도 설치된다.
또한 시상대는 무게와 이동, 설치의 편의성을 고려해 모듈로 설계했다. 패럴림픽대회를 위해 별도의 휠체어 접근이 가능한 슬로프를 설치했다.
동계올림픽은 추운 날씨 때문에 경기장에서는 메달리스트들에게 시상품만 전달하는 ‘베뉴(경기장) 세리머니’를 진행하고, 이튿날 평창의 올림픽 플라자에 있는 메달 플라자에서 메달리스트들에게 직접 메달을 주는 ‘빅토리 세리머니’를 진행한다.
메달리스트들은 눈이 쌓인 한옥 기와지붕을 형상화한 시상대에 올라 고운 한복을 차려입은 시상 도우미들로부터 어사화를 쓴 마스코트 수호랑 인형을 선물로 받는다.
‘베뉴 세리머니’ 시상품은 조선 시대 문무과에 급제한 사람에게 임금이 하사한 종이꽃인 ‘어사화’를 쓴 동계올림픽 마스코트 수호랑 인형을 준다. 패럴림픽에서는 어사화를 쓴 반다비 인형을 메달리스트에게 선물로 준다.
‘빅토리 세리머니’에서는 ‘2018 평창 동계올림픽대회’라는 한글 디자인과 함께 강원도 평창의 산맥, 눈꽃의 만남을 나무와 금속으로 제작한 시상품을 준다. 시상식에 사용할 음악 역시 한국 고유의 타악기와 서양의 오케스트라를 어우러지게 만들어 감동과 신명 나는 축제의 분위기를 연출했다.
한편, 평창 대회에서는 올림픽 103회, 패럴림픽은 총 80회에 걸쳐 시상식이 진행되며, 선수들에게 메달과 시상품을 전달하는 시상요원들은 한복을 모티브로 제작된 의상을 입는다.
이희범 조직위원장은 “평창 올림픽 시상식은 한국적인 아름다움을 새롭게 재해석해 시각화했고, 평창만의 새로운 시상식 연출을 통해 선수는 물론 관람객들에게도 잊지 못할 감동의 순간을 제공할 계획”이라며 “한국의 아름다움과 멋을 자연스럽게 전 세계에 보여 줄 수 있도록 남은 기간 철저하게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황선학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