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상가에서 발생하는 생활폐기물의 효율적인 분류·배출을 위해 쓰레기봉투에 배출자 정보를 담는다.
27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2억5천만 원을 투입해 내년부터 ‘상가 생활폐기물 배출표기제’를 위한 시스템을 구축한다.
배출표기제는 무선식별방식(RFID)이나 바코드 기술을 이용, 쓰레기봉투에 상호·주소·성명 등 배출자 정보를 간접적으로 표기해 추적할 수 있도록 하는 체계를 말한다. 실명이 아닌 간접적으로 정보를 표기하는 것은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도는 내년 1월 시·군 공모를 시행해 상반기 중에 전통시장 등 상가밀집지역 3곳을 시범사업지역으로 선정한 뒤 하반기 본격 배출표기제를 시행할 예정이다. 1년간 시범사업 성과를 토대로 대상 지역 확대 여부를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다만 생활폐기물의 처리에 관한 사무는 원칙적으로 시·군 사무이기 때문에 도는 시·군 지원역할을 담당한다. 배출표기제 운용과 관련한 시설 설치 등에 필요한 비용을 지원하고 생활폐기물 감축 성과가 탁월하거나 모범이 되는 시·군, 상가, 개인에 대해 포상을 하는 등의 방식이다.
도 관계자는 “상가 생활폐기물 배출자 정보 간접표기제를 도입하기는 경기도가 처음”이라며 “상가의 경우 일반 가정보다 생활폐기물을 대량 배출하면서도 분리배출이나 청결유지가 잘 이뤄지지 않아 배출표기제 도입의 필요성이 크다”고 말했다.
한진경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