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 관할 지방도로 사고 최근 10년간 전국 2만여건 증가
道 “부서신설 등 대책 강구”
지방정부가 관할하는 도로의 교통사고가 매년 증가추세에 있는 가운데 경기도와 31개 시ㆍ군 모두 ‘교통안전’을 담당하는 조직이 전무한 것으로 나타났다.
31일 교통안전공단 김기용 박사가 발표한 ‘지자체 교통안전향상을 위한 지방정부의 역할 강화 방안’에 따르면 고속도로 및 일반국도 등 중앙정부가 관리하는 도로에서의 교통사고 건수는 지난 2007년 3만 8천137건에서 지난해 2만 1천306건으로 10년 새 연간 1만 건가량 줄었다.
반면 지자체가 관리하는 지방도에서 발생한 교통사고 건수는 지난 2007년 17만 3천525건에서 지난해 19만 9천611건으로, 연간 교통사고가 오히려 2만여 건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런 가운데 도와 도내 31개 시ㆍ군 중 ‘교통안전 전담부서’를 운영하고 있는 지자체는 단 한 곳도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교통안전 전담 부서가 없다 보니 교통안전 전문 인력도 없었다.
전국 17개 시ㆍ도 중에서는 서울과 인천, 대구, 세종, 강원, 전남만이 교통안전 전담 부서를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처럼 교통안전 전담 부서 및 전문 인력이 없어 각 지자체의 교통안전 관련 사업이 형식적으로만 이뤄지고 있고, 결국 이것이 교통사고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교통안전공단 경인지역본부 관계자는 “지방정부 관할 도로에서의 교통사고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인 만큼 각 지자체에서 별도의 교통안전 조직을 구성해 어린이ㆍ노인보호구역 지정, CCTV 설치 등 교통안전 관련 업무를 보다 효율적ㆍ효과적으로 추진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경기도 관계자는 “교통안전 관련 인력이 부족하고 업무가 분할돼 있어 사고에 대응하기 힘든 것이 사실”이라며 “교통안전에 대한 업무를 전담할 부서 신설을 검토하는 등 대책 마련을 강구하겠다”고 말했다.
김승수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