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 1분기 제조업의 체감경기가 지난 분기보다 소폭 상승했다. 하지만, 환율 불안과 글로벌 긴축 기조, 통상마찰 우려, 노동환경 변화 등 대내외 불확실성으로 여전히 부정적 전망이 긍정적 전망보다 우세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최근 전국 2천100여 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한 ‘2018년 1분기 제조업 경기전망지수(BSI)’를 4일 발표했다. 올해 1분기 BSI는 86으로 지난 4분기보다 1포인트 상승했지만, 여전히 기준치(100)를 넘진 못했다.
BSI는 100 이상이면 다음 분기 경기가 이번 분기보다 좋아질 것으로 예상하는 기업이 더 많다는 뜻이고, 100 미만이면 그 반대다.
새해 경기를 지난 분기보다 부정적으로 전망하는 기업이 많다는 얘기다. 대한상의는 “세계경제가 글로벌 금융위기 10년 만에 회복세를 보이고 있지만, 기업을 둘러싼 대내외 불확실성이 아직은 부담되는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실제 기업경영 대외 불확실성에 대한 물음(복수응답)에는 환율변동(52.1%), 글로벌 긴축 기조(35.5%), 통상마찰 우려(28.6%), 북핵 리스크(24.7%) 등이 꼽혔다. 대내요인으로는 노동환경 변화(68.8%),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52.0%), 가계부채(14.7%), 에너지 믹스 변화(9.3%) 등을 우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출기업과 내수기업 간 경기 전망에도 온도 차가 나타났다. 수출기업 경기전망지수는 95로 직전 분기(91)보다 4포인트 상승했다. 내수기업은 전 분기와 같은 84를 기록했다.
경기지역 BSI는 93으로 기준치(100)를 밑돌았지만, 제주(113), 충북(96)에 이어 세 번째로 제조업체의 경기전망지수가 높았다.
정자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