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파, 이번주 전준위 출범 반대파는 총력 저지 나서
구성·안건 통과 난항 예고
국민의당이 바른정당과의 통합 추진에 속도를 내기 위해 이번 주 중 ‘전당대회준비위원회’(전준위)를 출범한다. 다만 통합 반대파가 전준위 구성에 반발할 가능성이 크고 전당대회 정족수를 채우기 어려울 수 있다는 관측마저 나오면서 통합 작업에 진통이 따를 전망이다.
7일 국민의당 복수의 관계자들에 따르면 안 대표 측 통합파는 이번 주 안으로 전준위를 공식 출범하고 전대 시기 및 시행세칙 등을 확정할 예정이다. 이와 관련, 8일 최고위원회의에서 전준위원 인선을 논의하는 데 이어 오는 9~10일 당무위원회 회의를 개최, 전준위 출범 절차를 마무리 짓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특히 통합파는 이번 달 마지막 주 일요일인 오는 28일께를 전대 목표일로 잡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이 시기를 전후해 바른정당과 함께 ‘창당준비위원회’(창준위)를 구성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앞서 양당은 통합을 통한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다음 달 9일 시작되는 평창동계올림픽 이전에 합당을 마무리 지어야 한다는 데 공감한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전대 총력저지에 나선 통합 반대파의 반발이 거센 상황이어서 전준위 구성부터 합당 안건 통과까지 단계마다 난항이 예상된다.
반대파 모임인 ‘국민의당 지키기 운동본부’는 객관적인 전준위 구성을 위해서는 자신들의 참여를 보장해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 반면 통합파 측에서는 친안(친 안철수)계 인사인 김중로 의원을 전준위원장으로 거론되고 있는 상황이다. 만약 전준위에 안 대표 측 인사가 대거 포함될 경우 편파 논란이 불거질 가능성이 크다.
전대 정족수를 채우는 문제도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안 대표 측은 전자투표 방식으로 통합 전대를 추진하려 했으나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최근 전대에서 ‘케이보팅’(K-voting) 시스템을 사용할 수 없다는 유권해석을 내렸기 때문이다.
통합신당의 정강·정책을 둘러싼 양당의 시각차 역시 갈등의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양당 의원 모임인 국민통합포럼은 지난 4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국민-바른 양당의 강령(정강·정책) 통합을 위한 토론회’를 열고 정강·정책 다듬기에 들어갔지만 대북포용정책인 ‘햇볕정책’의 반영 여부를 놓고 이견을 표출했다.
송우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