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주 출신 김심훈 정자(亭子) 사진 작가 두 번째 사진전 ‘한국의 정자’ 전시회가 오는 16일부터 28일까지 서울 종로구 청운동 113-3 류가헌 갤러리에서 개최한다.
이번 전시회는 김 작가가 10여 년간 촬영한 전국의 정자 중 30여 점 전시되며 오프닝 행사는 오는 20일 오후 5시에 열린다.
사진작가 김심훈은 어떤 지역명이 들리면 그 지역의 정자가 제일 먼저 떠오른다고 한다. 십여 년의 세월동안 정자와 누각만 카메라에 담아 온 ‘정자(亭子) 사진가’답다.
김 작가는 1959년 여주 출신으로 고향에서 운송업을 하면서 독학으로 정자 사진을 찍기 시작했다. 그는 사계절 풍광의 정자를 찍고자 2년간 사진을 촬영해 충실하게 기록했다.
2008년부터 북녘 땅이 바라다보이는 파주의 화석 정에서 강원과 영ㆍ호남지역의 여러 정자에 이르기까지 60여 곳을 다녔고, 2014년에는 7년여의 기록을 모아서 첫 번째 ‘한국의 정자’ 사진전을 열었다.
우리나라 곳곳의 정자들을 미학적 접근을 통해 촘촘히 기록한 사진은 보기 드물다, 전국의 정자 중에서 정수 20여 점을 뽑아서 아날로그 인화로 선보였던 김 작가의 ‘한국의 정자’는 조용한 반향을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했다.
전국에 1천400여 곳의 정자 중 사진을 찍기 위해 접근이 가능한 정자는 절반도 되지 않는다. 때로는 진입로가 아예 막혀버린 정자를 찾아가느라 낫으로 2km 남짓이나 숲길을 걸어서 찾은 정자도 있고, 옛 문헌에 겨울 눈 덮인 날의 풍광이 아름답다고 기록된 정자를 설경 속에 담고자 수차 찾았으나 실패한 정자도 많다.
김심훈 작가는 “우리나라 정자사진은 대형 4ⅹ5 필드카메라와 필름을 사용했다”라며“10여년의 오랜 시간 공을 들여 만든 작품을 이번 전시회를 통해 공개할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여주=류진동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