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남북고위급 회담 성과 놓고 온도차

정치권은 9일 남북 고위급 회담에서 북한의 평창동계올림픽 참가와 군사당국회담 개최 등에 합의한 것과 관련, “관계개선의 첫 걸음이 되길 바란다”며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다만 자유한국당은 “북한에 안하무인·적반하장 판을 깔아준 회담”이라며 혹평, 온도차를 드러냈다.

 

더불어민주당 백혜련 대변인(수원을)은 이날 브리핑을 통해 “남북관계 개선의 첫걸음”이라며 “이명박 정부부터 박근혜 정부까지 9년 여간 지속돼온 냉각기를 깬 본격적인 해빙의 자리”라고 호평했다.

 

그는 “2년여만의 자리라고는 믿기 어려울 정도로 기대 이상의 성과를 냈다”며 “향후 평창동계올림픽 참가 관련 실무회담을 개최하기로 합의한 만큼 원만히 진행될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해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국민의당 김철근 대변인도 브리핑에서 “평창 평화올림픽의 성공적 개최에는 상당한 진전을 이뤘다”면서 “평화 올림픽과 군사적 긴장 완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고 평가했다.

 

다만 김 대변인은 “북한의 핵과 미사일 발사의 근본적인 변화가 없는 상태에서 지나친 기대는 아직 금물”이라며 “문재인 정부는 굳건한 한미동맹과 국제공조를 강화하며 시간벌기 전략은 아닌지 면밀하게 점검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바른정당 유의동 수석대변인(평택을)도 논평에서 “평창올림픽에 북한의 다양한 대표단이 참여하고 남북간 군사회담 등이 합의에 이른 것은 의미 있는 성과”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한반도 문제의 당사자로서 대화와 협상을 통해 해결해 나가는 성숙한 남북관계를 기대한다”며 “남측 대표단의 활약에 격려를 보내며 지속적인 노력과 냉철한 전략도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한국당은 여전히 북한의 안하무인과 적반하장이 드러났다며 맹비난했다. 전희경 대변인은 이날 서면 논평을 통해 “공개된 3개 항의 공동보도문 내용을 보면 남북회담을 왜 했는지 회의감마저 들게 한다”며 이같이 지적했다.

 

그는 특히 ‘남북관계의 모든 문제를 당사자인 남북이 대화로 해결한다’는 부분에 대해 “만약 이것이 ‘민족 문제는 민족끼리 푼다’는 것을 의미한다면 강력한 국제 공조를 통해 북핵 문제 해결이 시급한 대한민국 입장에서는 미래의 안전을 넘겨준 치명적 결과”라고 꼬집었다.

김재민·송우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