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개 시군 비싼값에 도입 어려워
경기연, 인센티브 등 활성화 제시
경기도 공공건축물에 친환경기술을 적용하기 위해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관련 조례를 개정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경기연구원은 도내 건축물의 친환경 기술 현황을 분석하고 시스템 운용방안을 제시한 ‘경기도 공공건축물 친환경기술 도입 활성화 방안’ 보고서를 10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03년부터 2016년까지 정부가 친환경 건축물로 인증한 도내 ‘녹색건축물’은 2천205건으로 나타났다. 이 중 공공건축물은 68.3%에 달하는 1천506건이다.
시·군별로 화성시가 173건으로 가장 많았고 성남 157건, 수원 146건, 김포 113건, 용인 101건 등의 순이었다.
이런 가운데 여전히 31개 시ㆍ군에서는 값비싼 건축 비용으로 인해 건축물 신설 시 친환경기술 도입이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도내 31개 시ㆍ군 녹색건축물에 대한 담당 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친환경 공공건축물 조성의 장애 요인으로 비용(54.8%)을 가장 큰 원인으로 지목했다. 이어 기술지원과 건축기준 인지 부족도 각각 12.9%로 꼽혔다.
이정임 경기연 선임연구위원은 녹색건축 활성화를 통해 공공건축물에 대한 인식변화를 유도하는 선도적 역할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 연구위원은 ▲경기도 녹색건축물 조성 지원 조례 개정 ▲경기도 공공건축물 친환경조성 가이드라인 보급 ▲경기도 공공건축물 친환경기술 심의위원회 운영 ▲친환경기술 도입 인센티브 제공 등을 활성화 방안으로 제시했다.
이 연구위원은 “경기도 공공건축물에 도입할 수 있는 분야별 친환경기술 현황을 분석하여 에너지, 자원순환, 물 순환, 생태환경 등 4개 분야로 특화한 가이드라인(안)의 적용이 필요하다”며 “이를 통해 공공건축물의 친환경기술 도입에 대한 선도적 역할을 증대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한진경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