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당, 통합 전대 대비 당규 개정

당비 미납 대표당원 투표권 제한… 반대파 “의결정족수 채우려는 술책”

국민의당이 15일 당무위원회를 열고 바른정당과의 합당을 위한 ‘2·4 임시 전당대회’와 관련, 당비를 내지 않은 대표당원들의 투표권을 제한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통합 반대파에서는 투표 참여대상이 되는 대표당원의 수를 줄여 의결 정족수를 채우려는 술책이라고 비판, 갈등이 격화되는 분위기다.

 

국민의당은 이날 여의도 당사에서 당무위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당규 개정안을 의결했다. 개정된 당규에 따르면 대표당원이 된 이후 한 차례도 당비를 내지 않은 사람 또는 당비를 냈더라도 연락이 닿지 않는 당원은 대표당원에서 제외된다.

 

아울러 국민의당은 이번 전대를 전국 각 시·도당에서 분산하되, 동시 생중계하는 방식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했다. 또 공인인증 절차를 통해 전자투표를 실시할 수 있도록 당규를 고쳤다.

 

특히 전당대회 준비에 필요한 당무위의 기능과 권한을 최고위원회에 일임하는 방안도 처리됐다. 이를 놓고 일각에서는 안철수 대표의 영향력이 더욱 강하게 미칠 수 있는 최고위에서 전대 준비를 주도하려는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다만 핵심 쟁점으로 꼽혔던 이상돈 전대 의장의 사회권 조정에 대해서는 결론이 나지 않았다. 이에 대해 기획조정국과 법률위원회는 “추후 당내 의견수렴을 거쳐 합리적 대안을 마련하는 것이 합당하다고 판단된다”고 설명했다.

 

반면 통합 반대파는 이날 당무위 의결사항을 ‘꼼수’라며 반발했다. 반대파 의원들로 구성된 ‘국민의당 지키기 운동본부’ 최경환 대변인은 논평에서 “기득권 양당 패권정치와 싸우겠다던 안 대표는 패권 정치를 넘어 대한민국 정치사에 전무후무한 1인 독재정치를 자행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조배숙 위원장도 기자들과 만나 “의결 정족수를 채우기 위해 대표당원의 모수를 줄이는 꼼수를 부리고 있다”며 “각 지역에서 분산투표를 하는 것도 축제 분위기를 살리지 못하는 방안”이라고 비판했다.

송우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